홈
검색
사회과학의 지평 공공 인턴십 제도와 청년경험 확대 커버
사회과학의 지평 공공 인턴십 제도와 청년경험 확대
이동현
현대 사회에서 청년 실업과 경력 개발은 가장 시급한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서는 1930년대 미국 뉴딜정책에서 시작된 공공 인턴십의 역사적 흐름부터 현대의 메타버스 기반 비대면 인턴십까지, 청년 일자리 창출과 경험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제도의 진화 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특히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력원자력,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공공 인턴십이 청년들의 실질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명한다.

독일 듀얼 시스템부터 KOICA 해외봉사단까지 국내외 성공 사례를 통해 청년 일경험 지원정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육성 프로젝트와 소셜벤처 연계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불어 서울시 청년수당, 경기도 청년기본소득과 같은 지자체별 특색 있는 정책들이 청년들의 삶에 미치는 실질적 변화를 생생하게 포착한다.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 시대를 맞아 AI,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부터 장애인, 북한이탈주민 등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지원까지 포용적 청년정책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특히 특허청 인턴 출신 창업가들의 성공 스토리와 공공데이터 활용 스타트업 육성 사례를 통해 공공 인턴십이 청년들의 혁신 역량 강화와 자기주도적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11

파일 형식

ePub(858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