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조선의 지식계보학 커버
조선의 지식계보학
최연식 지음
6
조선시대의 지식인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조선시대에는 이 모호한 지식인이라는 개념에 대해 꽤나 구체적인 기준이 존재했다. '문묘 종사'가 바로 그것이다. 유교의 성인인 공자의 사당인 문묘에 조선에서 유학과 주자학에 위대한 공헌을 한 현인들을 모셔놓는 문묘종사는 조선의지식인을 대외적으로 공인하는 과정이었다.

조선에는 수준 높은 학문과 비판정신을 겸비한 지식인들이 많았지만 문묘에 종사된 이는 정몽주를 포함해 15명뿐이었다. 그러니 '문묘종사'가 지니는 상징성은 대단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문묘에 종사된 성현들의 목록을 읽다보면 의아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조선 건국의 일등 공신이자 '민본주의'라는 그만의 성리학적 이상세계로 오늘날까지도 '정도전 열풍'을 몰고 왔던 삼봉 정도전은 문묘종사 성현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반면 '단심가'라는 유명한 시를 남기며 조선개국에 반대했던 고려의 충신 정몽주는 조선의 지식인을 대표하는 문묘종사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왜 조선을 위해 일했던 정도전은 조선의 지식인이라 볼 수 없는 것일까? 왜 단 한 번도 조선에 충성하지 않았던 정몽주는 조선의 지식인이 될 수 있는 것일까? 과연 이 문묘종사는 어떤 기준으로 시행된 것일까?

이 책은 이 물음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알려준다. 조선의 지식인 15명이 문묘에 종사되는 과정을 다룬다. 그러나 지식인들의 생애와 학문을 검토하는 작업에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다. 그 대신 저자는 '조선의 문묘 종사에서 중요한 것은 대상자 선정의 표면적 결과가 아니라 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드러난 권력정치의 적나라한 속살'이라 말하며 개별 인물 연구가 아닌 '문묘 종사의 정치 동학'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출간일

종이책 : 2015-02-16전자책 : 2020-01-31

파일 형식

ePub(19.87 M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