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노멀의 철학대전환의 시대를 구축할 사상적 토대
김재인 지음코로나 팬데믹 시리즈 2권. 김재인 교수는 다양한 텍스트를 분석하며 근대의 정체를 밝힌다. 근대가 성립했던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서 어떤 사상적 결실이 맺어졌는지 소개한다. 우리는 근대인으로서 근대적인 개념과 가치를 내면화하고 살지만, 그 배경과 의미는 잘 알지 못했다. 그랬기 때문에 근대와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근대적인 가치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을 마주하고서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이다.
김재인 교수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철학자들에게서 돌파구를 찾는다. 들뢰즈와 과타리, 흄, 니체 같은 철학자들이다. 이들은 근대를 성찰하면서도 근대 이후를 상상하고, 다가올 시대를 고민했다. 저자는 근대적인 개념인 ‘정부’를 탈근대적인 개념인 ‘거버넌스’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노모스’, ‘배치체’ 개념을 활용한다.
김재인 교수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철학자들에게서 돌파구를 찾는다. 들뢰즈와 과타리, 흄, 니체 같은 철학자들이다. 이들은 근대를 성찰하면서도 근대 이후를 상상하고, 다가올 시대를 고민했다. 저자는 근대적인 개념인 ‘정부’를 탈근대적인 개념인 ‘거버넌스’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노모스’, ‘배치체’ 개념을 활용한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