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홍성욱 지음최근 국제 환경단체인 '시셰퍼드'는 일본의 포경선을 추격할 수 있는 규모와 속도를 가진 포경감시선을 건조했다고 밝혔다. 서양인들에게 고래를 잡아먹는 행위는 생물 다양성에 대한 위협인 동시에, 지능을 가진 동물을 해치는 야만적인 행위다. 반대로 오랫동안 고래 고기를 소비해온 일본에게 포경 반대 운동은 서양에서 만들어진 '환경 제국주의적 동맹'의 폭력이다.
고래는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인가, 다른 물고기들을 먹어치우는 포식자인가? 양측의 주장은 모두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다. '과학적 사실'은 존재하는 것인가? 토머스 쿤에 따르면 이런 논쟁은 '패러다임'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패러다임은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틀을 의미한다. 저자 홍성욱 교수는 쿤의 패러다임 개념을 확장.발전시킨 개념으로 '네트워크'를 제시한다.
저자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현대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며, 과학적 이슈의 흐름을 설명하는 키(key)이다. 네트워크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뻗어나가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성장하던 네트워크가 소멸되거나 다른 네트워크로 대체되기도 하고, 여러 네트워크가 하나로 응축되기도 한다. 이렇게 '살아 움직이는' 네트워크의 관점으로 볼 때, 과학이 사회와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또, 과학이 자연 본연의 속성이라기보다 '인간'의 활동임을 직시할 수 있다.
고래는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인가, 다른 물고기들을 먹어치우는 포식자인가? 양측의 주장은 모두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다. '과학적 사실'은 존재하는 것인가? 토머스 쿤에 따르면 이런 논쟁은 '패러다임'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패러다임은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틀을 의미한다. 저자 홍성욱 교수는 쿤의 패러다임 개념을 확장.발전시킨 개념으로 '네트워크'를 제시한다.
저자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현대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며, 과학적 이슈의 흐름을 설명하는 키(key)이다. 네트워크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뻗어나가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성장하던 네트워크가 소멸되거나 다른 네트워크로 대체되기도 하고, 여러 네트워크가 하나로 응축되기도 한다. 이렇게 '살아 움직이는' 네트워크의 관점으로 볼 때, 과학이 사회와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또, 과학이 자연 본연의 속성이라기보다 '인간'의 활동임을 직시할 수 있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