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은 자들의 포도주
로맹 가리 지음, 장소미 옮김로맹 가리는 그에게 두 번째 공쿠르상을 안겨준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 외에도 프랑수아 봉디, 샤탄 보가트, 프랑수아즈 로바, 포스코 시니발디 등 여러 필명을 사용해 평생 30편이 넘는 장편소설을 쓰고 숨은 이야기를 남겼지만, 그중에서도 이 소설 <죽은 자들의 포도주>에 얽힌 일화는 기구하다.
본명인 '로만 카체프'에 가까운 '로맹 카체프'로 남긴 유일한 장편소설이면서 그의 생애 첫 장편소설이고, 또 그가 생전에 출간을 보지 못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로맹 가리가 엑상프로방스대학 법학과에 입학하던 열아홉 살에 쓰기 시작해 스물세 살인 1937년 탈고했으나 여러 번 출간을 거절당한 탓에 그의 포부로만 남아 있었다.
그러다 1938년, 로맹 가리는 당시 그가 연모하던 스웨덴 기자로 기혼자이던 크리스텔 쇠데룬드에게 이 원고를 사랑의 증표로 주었는데, 로맹 가리의 손을 떠난 원고는 그가 세상을 뜬 지 12년이 지난 1992년에야 파리 드루오 호텔에서 경매품으로 세상에 처음 공개되었다. 그때까지 원고를 보관한 건 크리스텔 쇠데룬드였다.
그로부터 다시 22년이 지난 2014년에야 이 원고는 갈리마르 출판사를 통해 책의 꼴로 빛을 보았다. 초고답게 장 구분도 없이 한 호흡으로 적혀 있던 원고는 편집을 거쳐 그럴듯한 짜임새를 띠게 됐는데, 원서를 편집한 사람은 1992년 경매에서 초고를 낙찰받은 당사자, 문학 편집자이자 인류학자 필리프 브르노다. 마음산책의 열두 번째 로맹 가리 작품이자 소설로는 열 번째인 <죽은 자들의 포도주>는 2014년 출간된 초판본을 우리말로 옮겼다.
본명인 '로만 카체프'에 가까운 '로맹 카체프'로 남긴 유일한 장편소설이면서 그의 생애 첫 장편소설이고, 또 그가 생전에 출간을 보지 못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로맹 가리가 엑상프로방스대학 법학과에 입학하던 열아홉 살에 쓰기 시작해 스물세 살인 1937년 탈고했으나 여러 번 출간을 거절당한 탓에 그의 포부로만 남아 있었다.
그러다 1938년, 로맹 가리는 당시 그가 연모하던 스웨덴 기자로 기혼자이던 크리스텔 쇠데룬드에게 이 원고를 사랑의 증표로 주었는데, 로맹 가리의 손을 떠난 원고는 그가 세상을 뜬 지 12년이 지난 1992년에야 파리 드루오 호텔에서 경매품으로 세상에 처음 공개되었다. 그때까지 원고를 보관한 건 크리스텔 쇠데룬드였다.
그로부터 다시 22년이 지난 2014년에야 이 원고는 갈리마르 출판사를 통해 책의 꼴로 빛을 보았다. 초고답게 장 구분도 없이 한 호흡으로 적혀 있던 원고는 편집을 거쳐 그럴듯한 짜임새를 띠게 됐는데, 원서를 편집한 사람은 1992년 경매에서 초고를 낙찰받은 당사자, 문학 편집자이자 인류학자 필리프 브르노다. 마음산책의 열두 번째 로맹 가리 작품이자 소설로는 열 번째인 <죽은 자들의 포도주>는 2014년 출간된 초판본을 우리말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