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지극히 아름다운 나라독일인 옥낙안이 본 근대 조선인의 삶과 내면
안드레 에카르트 지음, 이기숙 옮김'그들이 본 우리' 총서 18권. '옥낙안'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던 독일 베네딕트회 소속의 신부 안드레아스 에카르트는 한국에 서구의 학문을 도입한 교육자이자 가톨릭을 선교한 사제였고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한 학자였으며, 누구보다 한국을 사랑한 사람이었다. 이 책에는 조선을 사랑한 독일인 옥낙안이 보고 겪은 1909~1929년의 조선인의 삶과 내면이 담겨 있다.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는 소식을 들으며 걱정과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는 서문을 쓰며 집필을 마친 이 짧은 소책자는, 그의 교육활동이나 선교활동 등 공식적인 활동을 전혀 담고 있지 않은, 한 이방인이 조선이라는 나라를 찾아와 알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독특한 여행기이자 소개서이다. 에카르트는 자신이 사랑했던 나라의 기억을 극히 주관적인 시점에서 기록하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책이 감상으로만 가득 찬 것은 아니다. 에카르트는 철학과 종교학, 예술사와 각종 언어에 능숙한, 탄탄한 자질을 갖춘 학자로서 자신이 보고 겪은 일에 기반해서 조선인들의 삶과 문화, 그리고 내면 풍경에 대해 면밀한 관찰과 깊은 통찰을 보여준다.
각종 예식들과 종교적 행사들이 조선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였는지, 일상적인 행동에서 드러나는 윤리 의식은 어떤 것인지, 신앙인이자 학자로서 에카르트는 단순한 구경꾼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난 문화의 심층을 읽어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자연과 친화적이며 소박하고 예의바른, 그러나 현세적이고 정직한 이 땅의 사람들에 대한 진솔한 애정이 놓여 있다.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는 소식을 들으며 걱정과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는 서문을 쓰며 집필을 마친 이 짧은 소책자는, 그의 교육활동이나 선교활동 등 공식적인 활동을 전혀 담고 있지 않은, 한 이방인이 조선이라는 나라를 찾아와 알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독특한 여행기이자 소개서이다. 에카르트는 자신이 사랑했던 나라의 기억을 극히 주관적인 시점에서 기록하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책이 감상으로만 가득 찬 것은 아니다. 에카르트는 철학과 종교학, 예술사와 각종 언어에 능숙한, 탄탄한 자질을 갖춘 학자로서 자신이 보고 겪은 일에 기반해서 조선인들의 삶과 문화, 그리고 내면 풍경에 대해 면밀한 관찰과 깊은 통찰을 보여준다.
각종 예식들과 종교적 행사들이 조선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였는지, 일상적인 행동에서 드러나는 윤리 의식은 어떤 것인지, 신앙인이자 학자로서 에카르트는 단순한 구경꾼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난 문화의 심층을 읽어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자연과 친화적이며 소박하고 예의바른, 그러나 현세적이고 정직한 이 땅의 사람들에 대한 진솔한 애정이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