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의 일상일상의 생각에서 생각의 일상을 찾는 새로운 생각을 위한 에세이
정준 지음일상의 생각에서 생각의 일상을 찾는 새로운 생각을 위한 에세이이다. 생각의 효용과 가치를 찾는 새로운 생각이란 추상적 주제를 실제적 일상에 접목시킨 최초의 에세이 『새로운 생각을 위하여』(2015년 초판, 2018년 증보판)에 이은 후속작이기도 하다.
누구나 생각하면서 살아가지만 “생각이란 무엇인가?”라고 물을 때 쉽게 답하기 어렵다. 생각은 생각하는 자체이기 때문이다. 경제학박사인 저자가 생각이란 관심사를 ‘생각의 일상’이란 이름으로 보편적 인문과 생활의 장으로 이끌었다. 어떤 생각이 최선일까? 생각은 무엇일까? 하는 등 객관적으로 표현하기 힘든 다양한 추상적 생각을 이 책에서처럼 구체적 일상에 적용하고 종합하여 별도의 36가지로 세분화한 것은 전례가 없다. 생각에 대한 오래된 해석이나 진부한 인용에 치우치지 않는 시도가 새롭다.
일상을 이루는 시간, 생활, 생각 속에서 시간은 주어진 질료로 중립적이고, 생활은 주어진 환경으로 대상적이며, 생각은 만들어 가는 주어진 의식으로 주체적이다. 시간 속에서 맞이했던 과거를 직면하고 생활 속에서 맞이한 현재를 공감하며 생각 속에서 지나온 시간과 맞이한 현재 및 맞이할 미래를 추상한다. 생각의 일상은 객체적이고 중립적인 여건을 주동적으로 정립하는 자신만의 길이기도 하다. 생각의 일상에는 어떤 일의 동력이 되는 통일성, 여백의 자유로움이 되는 유연성, 시간의 연대가 되는 방향성, 새로운 세계가 되는 창조성, 자신만의 자아가 되는 정체성, 연속되는 가치가 되는 영속성이 있다.
누구나 생각하면서 살아가지만 “생각이란 무엇인가?”라고 물을 때 쉽게 답하기 어렵다. 생각은 생각하는 자체이기 때문이다. 경제학박사인 저자가 생각이란 관심사를 ‘생각의 일상’이란 이름으로 보편적 인문과 생활의 장으로 이끌었다. 어떤 생각이 최선일까? 생각은 무엇일까? 하는 등 객관적으로 표현하기 힘든 다양한 추상적 생각을 이 책에서처럼 구체적 일상에 적용하고 종합하여 별도의 36가지로 세분화한 것은 전례가 없다. 생각에 대한 오래된 해석이나 진부한 인용에 치우치지 않는 시도가 새롭다.
일상을 이루는 시간, 생활, 생각 속에서 시간은 주어진 질료로 중립적이고, 생활은 주어진 환경으로 대상적이며, 생각은 만들어 가는 주어진 의식으로 주체적이다. 시간 속에서 맞이했던 과거를 직면하고 생활 속에서 맞이한 현재를 공감하며 생각 속에서 지나온 시간과 맞이한 현재 및 맞이할 미래를 추상한다. 생각의 일상은 객체적이고 중립적인 여건을 주동적으로 정립하는 자신만의 길이기도 하다. 생각의 일상에는 어떤 일의 동력이 되는 통일성, 여백의 자유로움이 되는 유연성, 시간의 연대가 되는 방향성, 새로운 세계가 되는 창조성, 자신만의 자아가 되는 정체성, 연속되는 가치가 되는 영속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