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 사도행전한 평신도 지식인이 설렘과 감동으로 쓴 개화기 조선 선교사들의 이야기
오두범 지음고려 공민왕 때 원나라로 사신 갔던 문익점(文益漸, 1329-1398)이 돌아올 때 목화씨 몇 알을 얻어 옴으로써 우리나라에 무명 옷감의 시대가 열렸다고 한다. 그 이전의 우리 민족 의생활의 소재는 주로 베 옷감이나 명주 옷감이었다. 붓 깍지에 넣어도 들어갈 만큼 작고 보잘것없는 면화의 씨앗은 다행히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잘 발아되었다. 목화에서 뽑은 무명옷은 베옷보다 따뜻했고 명주옷보다 질겼다. 이후 무명옷은 600년 넘는 세월 우리 민족의 몸을 감싸 주어 민족의 이름이 ‘백의민족’이 되었다. 문익점의 목화씨가 수백 년 ‘백의문명’의 원류가 되었던 것이다.
구한말 우리나라에 기독교(개신교) 복음의 씨앗은 누가 들여와서 뿌려 주었을까? 한국에 처음으로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개신교 선교 활동을 시작한 사람은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그리고 스크랜턴 모자(母子) 선교사 등이다. 이분들은 이 나라에 들어와 선교 사역을 시작하였을 뿐 아니라 학교와 병원을 세워 이 나라에 교육과 의료 등 서구 문명의 기초가 있게 하였다. 이분들 이후 그동안 한국을 다녀간 개신교 선교사는 3,000여 명이나 된다.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일반 교양인의 입장에서도 이분들의 이름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나라가 종교, 정치, 교육, 의료, 문화, 여성 등의 여러 면에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기까지 다방면에 끼친 공로가 크기 때문이다.
구한말 우리나라에 기독교(개신교) 복음의 씨앗은 누가 들여와서 뿌려 주었을까? 한국에 처음으로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개신교 선교 활동을 시작한 사람은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그리고 스크랜턴 모자(母子) 선교사 등이다. 이분들은 이 나라에 들어와 선교 사역을 시작하였을 뿐 아니라 학교와 병원을 세워 이 나라에 교육과 의료 등 서구 문명의 기초가 있게 하였다. 이분들 이후 그동안 한국을 다녀간 개신교 선교사는 3,000여 명이나 된다.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일반 교양인의 입장에서도 이분들의 이름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나라가 종교, 정치, 교육, 의료, 문화, 여성 등의 여러 면에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기까지 다방면에 끼친 공로가 크기 때문이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