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 열전 2
사마천사기(史記) 중 정수로 평가되는 중국의 고대 인물들을 다룬 전기
백이 열전을 첫째편으로 시작해 노자 한비 열전, 오자서 열전 등 총 70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기』를 집필한 목적과 의도를 자세히 밝히고 있는 제130권 태사공자서로 끝을 맺고 있다. 사마천은 백이 열전에서 주나라 백성이 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에 들어가 굶어죽은 백이·숙제의 비통한 운명을 논하며 부조리한 세상사에 대한 울분을 토로하고, 아울러 궁형(宮刑)을 당한 자신의 억울한 처지와 유사하다는 데서 비롯된 동류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관포지교(管鮑之交)’나 ‘토사구팽(兎死狗烹)’과 같은 고사성어로도 널리 알려진 이 역사서는 이천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그 생명력을 잃지 않고 더욱 빛을 발하며 동서양의 고전으로 손꼽히고 있다.
「춘신군 열전」 몸을 던져 가면서 군주를 따라 마침내 강한 진나라의 손아귀에서 벗어났고 유세객들을 남쪽의 초나라로 오게 한 것은 황헐의 충의였다. 「범수 · 채택 열전」 범수는 위제에게 받은 치욕을 참아내고 강한 진나라에서 신임을 받아 위세를 떨치고 재상의 지위에 올랐다. 이러한 범수와 채택 두 사람은 서로 상대의 현능함을 추천하여 자리를 양보하는 미덕을 지니고 있었다. 「악의 열전」 악의는 장수가 되어 계책을 실천하고, 다섯 나라의 군사를 연합하여 약한 연나라를 위해 강한 제나라에 원수를 갚아 그 선군의 치욕을 씻었다. 「염파 · 인상여 열전」 인상여는 강한 진나라에 대해서는 자기 소신을 굳게 펼쳤고, 친구 염파에게는 몸을 굽혀 그 군주를 위함으로써 한결같이 제후의 존경을 받았다. 「전단 열전」 제나라 민왕은 임치를 잃고 거읍으로 달아났지만, 오직 전단만은 즉묵을 굳게 지키며 기겁을 깨뜨려 마침내 제나라의 사직을 보존하였다. 「노중련 · 추양 열전」 궤변으로 진나라에 포위된 성을 구하고 작위나 봉록을 가볍게 여기고, 자유로운 삶을 즐겼다. 「굴원 · 가생 열전」 문장을 지어 풍간을 하고 비유를 들어 의(義)를 논한 것으로는 ‘이소(離騷)’가 있다. 「여불위 열전」 자초와 우호관계를 맺고 제후들로 하여금 다투어 진나라를 섬기도록 하였다. 「자객 열전」 조말의 비수로 노나라는 제 환공으로부터 잃었던 땅을 되찾았고 제나라는 제후들에게 그 신의를 밝혔다. 예양은 의를 지켜 두 마음을 품지 않았다. 「이사 열전」 그 계획을 확립하고 시대의 추이에 따라 진나라에서 그 뜻을 실천함으로써 진나라로 하여금 해내를 통일하도록 한 것은 실로 이사(李斯)의 힘이었다. 「몽염 열전」 몽염은 진나라를 위해 영토를 개척하여 인구를 늘이고 북방의 흉노를 무찌르고 황하를 따라 요새를 구축하였으며, 산악에 의지하여 방비를 튼튼히 함으로써 유중현을 건설했다. 「장이 · 진여 열전」 장이와 진여는 조나라를 평정하고 상산을 확보하여 하내에 세력을 확장하고, 초나라의 권세를 약화시켜 한왕의 신의를 천하에 드러냈다.
백이 열전을 첫째편으로 시작해 노자 한비 열전, 오자서 열전 등 총 70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기』를 집필한 목적과 의도를 자세히 밝히고 있는 제130권 태사공자서로 끝을 맺고 있다. 사마천은 백이 열전에서 주나라 백성이 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에 들어가 굶어죽은 백이·숙제의 비통한 운명을 논하며 부조리한 세상사에 대한 울분을 토로하고, 아울러 궁형(宮刑)을 당한 자신의 억울한 처지와 유사하다는 데서 비롯된 동류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관포지교(管鮑之交)’나 ‘토사구팽(兎死狗烹)’과 같은 고사성어로도 널리 알려진 이 역사서는 이천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그 생명력을 잃지 않고 더욱 빛을 발하며 동서양의 고전으로 손꼽히고 있다.
「춘신군 열전」 몸을 던져 가면서 군주를 따라 마침내 강한 진나라의 손아귀에서 벗어났고 유세객들을 남쪽의 초나라로 오게 한 것은 황헐의 충의였다. 「범수 · 채택 열전」 범수는 위제에게 받은 치욕을 참아내고 강한 진나라에서 신임을 받아 위세를 떨치고 재상의 지위에 올랐다. 이러한 범수와 채택 두 사람은 서로 상대의 현능함을 추천하여 자리를 양보하는 미덕을 지니고 있었다. 「악의 열전」 악의는 장수가 되어 계책을 실천하고, 다섯 나라의 군사를 연합하여 약한 연나라를 위해 강한 제나라에 원수를 갚아 그 선군의 치욕을 씻었다. 「염파 · 인상여 열전」 인상여는 강한 진나라에 대해서는 자기 소신을 굳게 펼쳤고, 친구 염파에게는 몸을 굽혀 그 군주를 위함으로써 한결같이 제후의 존경을 받았다. 「전단 열전」 제나라 민왕은 임치를 잃고 거읍으로 달아났지만, 오직 전단만은 즉묵을 굳게 지키며 기겁을 깨뜨려 마침내 제나라의 사직을 보존하였다. 「노중련 · 추양 열전」 궤변으로 진나라에 포위된 성을 구하고 작위나 봉록을 가볍게 여기고, 자유로운 삶을 즐겼다. 「굴원 · 가생 열전」 문장을 지어 풍간을 하고 비유를 들어 의(義)를 논한 것으로는 ‘이소(離騷)’가 있다. 「여불위 열전」 자초와 우호관계를 맺고 제후들로 하여금 다투어 진나라를 섬기도록 하였다. 「자객 열전」 조말의 비수로 노나라는 제 환공으로부터 잃었던 땅을 되찾았고 제나라는 제후들에게 그 신의를 밝혔다. 예양은 의를 지켜 두 마음을 품지 않았다. 「이사 열전」 그 계획을 확립하고 시대의 추이에 따라 진나라에서 그 뜻을 실천함으로써 진나라로 하여금 해내를 통일하도록 한 것은 실로 이사(李斯)의 힘이었다. 「몽염 열전」 몽염은 진나라를 위해 영토를 개척하여 인구를 늘이고 북방의 흉노를 무찌르고 황하를 따라 요새를 구축하였으며, 산악에 의지하여 방비를 튼튼히 함으로써 유중현을 건설했다. 「장이 · 진여 열전」 장이와 진여는 조나라를 평정하고 상산을 확보하여 하내에 세력을 확장하고, 초나라의 권세를 약화시켜 한왕의 신의를 천하에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