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사회과학의 지평 사회적 대화기구 활성화와 합의 도출 커버
사회과학의 지평 사회적 대화기구 활성화와 합의 도출
유현수
현대 사회의 복잡다단한 갈등 구조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의 역할과 진화 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한 이 책은 한국의 노사정위원회부터 독일의 공동결정제도, 스웨덴의 살트쉐바덴 협약까지 전 세계 주요 사회적 대화 모델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특히 1987년 이후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발전한 대화기구들의 제도화 경험과 1997년 외환위기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사회적 합의 도출의 역사적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환경문제 공론화위원회, 연금개혁 협상, 산업구조 전환 과정의 일자리 연대 등 현재 진행형인 주요 사회적 의제들에 대한 대화기구의 실천 사례를 상세히 소개하면서, 기후변화와 인공지능 등 미래 의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대화 모델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프랑스 기후협약 시민의회, 아일랜드 헌법개정 시민의회 등 해외의 선진적 시민참여 모델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소통 방식도 폭넓게 다룬다.

ILO 삼자협의체와 EU 사회적 대화 시스템 등 글로벌 대화 네트워크의 운영 경험을 분석하고, 다문화사회에서의 포용적 대화 방안과 기업 내 참여적 의사결정 제도의 혁신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사회적 대화를 통해 도출된 합의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 한국형 대화모델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구체적 발전 과제를 제안한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11

파일 형식

ePub(860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