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문학의 민주주의 커버
문학의 민주주의구로노동자문학회소사(小史)
장성규 지음
‘구로노동자문학회’를 중심으로 한국에서의 노동자 글쓰기의 문학사를 거칠게나마 조망해보려는 조그마한 시도이다. 1988년부터 2006년까지 지속된 구로노동자문학회는 ‘문학의 주체로서의 노동자’라는 상이 구현된 매우 특이한 문학사적 사례에 해당한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근대문학은 일련의 지식인-엘리트 집단을 주체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문학적 주체 설정은 지금까지도 통용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식민지 시대의 카프나 1980년대 민족문학운동 등을 통해 자신의 문학적 정체성 자체를 바꾸려는 고투를 보여주기도 했다.

그럼에도 한국 근대문학의 ‘주체’는 여전히 ‘양심적’(혹은 ‘실천적’) 지식인-엘리트 집단이었다는 점에서는 큰 변화가 없다. 바꾸어 말하자면, 기존의 문학사 인식은 그 주체를 소수의 문화적 엘리트 집단으로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 속에서 일련의 노동자 글쓰기의 흐름들은 예외적인 ‘사건’ 정도로 간주되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문학사적 인식에 균열을 내려는 문제의식의 소산이다. 꼭 ‘구로노동자문학회’와 같이 명징하게 ‘문학의 주체로서의 노동자’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텍스트에 흔적으로 새겨진 수많은 ‘노동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방식으로 ‘아래로부터의 문학사’를 구축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처음 단행본을 기획할 때보다 논의의 폭이 훨씬 넓어진 까닭이다. 그러니까 이 책은 ‘구로노동자문학회’를 중심에 두면서도, 이를 예외적 사건으로 보기보다는 문학사적인 연속성 속에서 조망하고자 하는 셈이다.

출판사

역락

출간일

종이책 : 2025-02-28전자책 : 2025-06-16

파일 형식

PDF(9.32 M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