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놀이하는 인간 : 놀지 못해 아픈 이들을 위한 인문학
노르베르트 볼츠 지음, 윤종석.나유신.이진 옮김“놀아라, 양심의 가책을 받지 말고!” 이 책은 놀이가 우리를 ‘매혹’하며 ‘낙원으로 유혹’한다고 평가한다. 비록 놀이가 제공하는 것이 생산성의 측면에서 쓸모없고 유용한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놀이의 세계는 또 다른 측면에서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의 공간은 울타리가 쳐진 생활 세계이고, 그 안에서는 모든 것이 규칙에 맞게 굴러간다. 놀이 규칙을 통해 좋은 질서가 보장되고, 그 질서 안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안다.
놀이가 우리에게 주는 매력과 유익함은 일일이 다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우선 놀이는 오늘날 우리에게 신화가 예전에 했던 역할을 한다. 즉 놀이는 우리 삶의 지평에 유익한 경계선을 그어준다. 놀이가 시작되면 우리는 일상의 세계와는 다른 또 다른 세계에 들어가게 된다. 놀이의 영향권에 발을 들여놓게 되면 매 순간 내려야 하는 결정을, 일종의 리스크가 주는 짜릿함을 느끼면서 즐길 수 있다. 놀이는 우리가 이길지 질지, 한번 해보게끔 유혹한다. 이 과정에서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은 몰입(Immersion)을 체험한다. 놀이는 참여자로 하여금 해냈다라는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고, 이 성취감은 행복으로 이어진다.
또한 놀이는 세계에 대한 새로운 ‘관계 맺기’를 의미한다. 우리는 게임의 규칙을 지키면서 즐거움을 찾게 되고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규칙에 입각한 놀이로 변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발견하게 된다. 네덜란드 문화사학자 요한 하위징아의 기념비적인 저작 《호모 루덴스》나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로제 카이와의 《놀이와 인간》의 뒤를 잇는 놀이 연구서이다.
놀이가 우리에게 주는 매력과 유익함은 일일이 다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우선 놀이는 오늘날 우리에게 신화가 예전에 했던 역할을 한다. 즉 놀이는 우리 삶의 지평에 유익한 경계선을 그어준다. 놀이가 시작되면 우리는 일상의 세계와는 다른 또 다른 세계에 들어가게 된다. 놀이의 영향권에 발을 들여놓게 되면 매 순간 내려야 하는 결정을, 일종의 리스크가 주는 짜릿함을 느끼면서 즐길 수 있다. 놀이는 우리가 이길지 질지, 한번 해보게끔 유혹한다. 이 과정에서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은 몰입(Immersion)을 체험한다. 놀이는 참여자로 하여금 해냈다라는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고, 이 성취감은 행복으로 이어진다.
또한 놀이는 세계에 대한 새로운 ‘관계 맺기’를 의미한다. 우리는 게임의 규칙을 지키면서 즐거움을 찾게 되고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규칙에 입각한 놀이로 변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발견하게 된다. 네덜란드 문화사학자 요한 하위징아의 기념비적인 저작 《호모 루덴스》나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로제 카이와의 《놀이와 인간》의 뒤를 잇는 놀이 연구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