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The Book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by Immanuel Kant) 커버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The Book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by Immanuel Kant)
Immanuel Kant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The Book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by Immanuel Kant

Title: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uthor: Immanuel Kant Translator: J. M. D. Meiklejohn Language: English

한자.純粹理性批判. 독일어.Kritik der reinen Vernunft. 영어.the Critique of Pure Reason
1. 개요
2. 형이상학과 순수이성비판
2.1. 형이상학에 대해서
2.2. 순수이성비판의 형이상학적 목표
2.3. 순수이성비판에서는 수학과 물리학을 정초했다?
2.4. 순수이성비판 번역어를 둘러싼 논쟁
3. 주요 내용 정리
3.1. 도입
3.1.1. 선천과 후험
3.1.2. 분석과 종합, 그리고 '선천적 종합'
3.1.3. 선험철학 혹은 순수이성비판의 이념
3.2. 순수이성비판의 구조
3.3. 선험적 감성론
3.3.1. 공간론
3.3.2. 시간론
3.3.3. 사물들 자체와 사물들 자체의 불가지론
3.4. 선험적 논리학
3.4.1. 본문에 들어가기에 이해를 위한 보충 설명들
3.4.1.1. (들어가기에 앞서) 순수이성비판 선험적 논리학의 이해를 위한 배경
3.4.1.2. 선험적 분석론의 개괄적 요약
3.4.1.2.1. 선험적 분석론의 세항을 이해하기 위한 예비적 주의
3.4.1.3.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3.4.2. (제1편) 개념의 분석론
3.4.2.1. 제1편 개념의 분석론 중 '제2절 지성의 순수한 개념의 선험적 연역' 에 대해서 가능한 하나의 이해
3.4.3. (제2편) 원칙의 분석론

이마누엘 칸트의 주요 저서. 서양 근대 철학사를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에서 철학사에서 인식론, 형이상학, 과학철학, 심리철학 등 무수한 분야에서 큰 영향.

칸트의 주요 3대 저서.
첫 번째 "순수 이성 비판"이요, 이는 "어떻게 인간이 지식을 창출해 내며, 사물을 알 수 있는지"를 논한다.
두 번째 "실천 이성 비판"이요, 이는 "어떻게 인간이 (윤리적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며,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지"를 논한다.
세 번째는 "판단력 비판"이요, 이는 "어떻게 인간이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것의 여부를 판단하며, 그것을 직관할 수 있는지"를 담고 있다. 이 세 저서은 "진리(眞)", "윤리(善)", "아름다움(美)".
진리에 대해서 논하는 순수이성비판이라는 저작에서 칸트가 굳이 순수이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인간의 지식은 경험과 판단에 의해서 만들어지는데, "경험"은 "후험적"인 것이고, "외부적"인 것이다. 그래서, 외부적인 "경험"이라는 요소를 제거한 채, 순수한 인간 이성만을 둔 채로 그 작용 방식을 논하고자 하였다. "순수이성"은 오직 이성 그 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이고, "비판"이라는 단어는 "판단", "분석"이라는 의미를 내포. 결론으로 이 책은 "순수한 인간이성을 분석한다." 라는 의미.
칸트는 인간 이성의 그 작용원리와 근거를 제시하고, 모든 인간 지식의 참과 거짓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출간일

전자책 : 2022-03-17

파일 형식

PDF(2.64 M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