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화용과 담화
임규홍 지음인간이 태초 사용한 의사소통이 바로 입말이다. 따라서 입말에 대한 연구가 언어 연구의 가장 본질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입말은 말할이와 들을이 사이에 복잡한 상황들이 존재한다. 말을 할 때의 시간과 장소, 말할이와 들을이의 관계, 몸짓과 소리, 심리 상태 등 신비할 정도로 수많은 요소들이 말을 하는 동안 작동하게 된다.
크게는 다섯 부분으로 나눠 구성된 책이다. 제1부에서는 화용론에 대한 내용이고, 제2부는 국어 담화 특징과 담화 구조를 분석한 내용이고, 제3부는 담화표지에 대한 것이며, 제4부는 담화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5부에서는 사회언어학적 면에서 성과 담화의 특성에 대한 내용이다.
크게는 다섯 부분으로 나눠 구성된 책이다. 제1부에서는 화용론에 대한 내용이고, 제2부는 국어 담화 특징과 담화 구조를 분석한 내용이고, 제3부는 담화표지에 대한 것이며, 제4부는 담화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5부에서는 사회언어학적 면에서 성과 담화의 특성에 대한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