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라우마 사회심리학아동기 부정적 경험, ACE 생존자와 회복탄력성
미타니 하루요 지음, 명다인 옮김아동 학대 및 방임, 가족의 자살,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나 정신질환 등 아동기 부정적 경험(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CE)은 흔히 자극적인 뉴스의 소재가 되지만, 막상 학술적 연구는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지난 수십 년간 ACE가 성인이 된 후의 심신의 질병, 사회경제적 지위, 대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방대한 연구 성과가 쌓였지만, 관련 자료 대부분이 영어 논문 형태로 되어 있어 일반에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4가지 이상인 사람은 성인이 되었을 때, 심장 질환은 2.2배, 뇌졸중은 2.4배, 만성 폐 질환은 3.9배, 알코올 의존증은 7.4배, 우울증은 4.6배, ‘50명 이상과의 성관계’는 3.2배, 자살 미수는 12.2배 발생 확률이 높았다. ACE 생존자는 불리함이 누적되면서 평생 괴로움을 겪는다. 우연히 태어난 가족의 생활환경 격차가 일생에 걸쳐 다면적인 격차로 이어진다.
복지사회학, 가족사회학 권위자인 미타니 하루요는 민족, 장애 유무처럼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ACE 생존자의 고통을 ‘사각지대에 있는 소수자의 문제’라고 표현한다. 저자는 아동기 트라우마가 아이의 전 생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ACE 연구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하고 알기 쉽게 설명함으로써, 그 누구도 ACE 피해자나 가해자가 되지 않는 세상, ACE 생존자도 회복되어 잘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예방 시스템과 사회적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데 기반이 되는 지식을 제공하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을 역임한 ACE 전문가 곽영숙 현 국립정신건강센터장, 청소년 정책 연구자로서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를 집필한 강지나 교사, ACE 생존자 당사자로서 에세이 『슬픔의 방문』을 집필한 <시사인> 장일호 기자가 지금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책으로 강력 추천했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4가지 이상인 사람은 성인이 되었을 때, 심장 질환은 2.2배, 뇌졸중은 2.4배, 만성 폐 질환은 3.9배, 알코올 의존증은 7.4배, 우울증은 4.6배, ‘50명 이상과의 성관계’는 3.2배, 자살 미수는 12.2배 발생 확률이 높았다. ACE 생존자는 불리함이 누적되면서 평생 괴로움을 겪는다. 우연히 태어난 가족의 생활환경 격차가 일생에 걸쳐 다면적인 격차로 이어진다.
복지사회학, 가족사회학 권위자인 미타니 하루요는 민족, 장애 유무처럼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ACE 생존자의 고통을 ‘사각지대에 있는 소수자의 문제’라고 표현한다. 저자는 아동기 트라우마가 아이의 전 생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ACE 연구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하고 알기 쉽게 설명함으로써, 그 누구도 ACE 피해자나 가해자가 되지 않는 세상, ACE 생존자도 회복되어 잘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예방 시스템과 사회적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데 기반이 되는 지식을 제공하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을 역임한 ACE 전문가 곽영숙 현 국립정신건강센터장, 청소년 정책 연구자로서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를 집필한 강지나 교사, ACE 생존자 당사자로서 에세이 『슬픔의 방문』을 집필한 <시사인> 장일호 기자가 지금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책으로 강력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