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오항녕 지음1623년 인조(계해)반정으로 쫓겨난 광해군 정권. 조선시대 내내 혼군(昏君) - 판단이 흐린 임금으로 불렸던 광해군. 그러나 20세기 들어와 실용주의 외교로 백성들에게 은택을 입힌 택민(澤民) 군주로 재평가되었다. 그 기원은 놀랍게도 식민지시대 조선사편수회의 간사였던 일본인 학자 이나바 이와키치. 이렇게 광해군은 20세기에 화려하게 부활했다.
역사인식에서 비판적인 성향이거나 보수적인 성향이거나를 막론하고, 또 교과서든 대중서든 전문연구서든 가리지 않고 고르게 재평가를 받으며 복권되어 부활하다 못해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21세기에도 광해군은 건재하다. 이 책은 이런 부활과 권세에 대한 비판이다.
오항녕 교수(전주대 역사문화학과)는 지난 100년 동안 추켜세웠던, 조선시대 사람들 표현대로 하면 다시 성군(聖君)이 되었던 광해군에 대해 "그는 본보기가 될 거울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망칠 위험한 거울입니다."라며 이 책을 21세기 초입에 시도하는 광해군에 대한 새로운 반정(反正)이라 한다.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은 정반대로 왜곡된 광해군시대를 바로잡는다는 소극적 기획은 아니다. 이 책은 파(破)가 아닌 립(立)이다. 실패한 역사에서 더 배우자는 취지이다. 저자는 우리 시대 우리 국민들이 이 나라가 어떤 세상이 되길 원하는지 광해군과 그의 시대에서 배우길 권한다. 또한 광해군을 폐위시킨 뒤 이 땅에서 살아야 했던 조선 사람들에게 바치는 안타까운 위로, 역사적 연대의 편지이기도 하다.
역사인식에서 비판적인 성향이거나 보수적인 성향이거나를 막론하고, 또 교과서든 대중서든 전문연구서든 가리지 않고 고르게 재평가를 받으며 복권되어 부활하다 못해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21세기에도 광해군은 건재하다. 이 책은 이런 부활과 권세에 대한 비판이다.
오항녕 교수(전주대 역사문화학과)는 지난 100년 동안 추켜세웠던, 조선시대 사람들 표현대로 하면 다시 성군(聖君)이 되었던 광해군에 대해 "그는 본보기가 될 거울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망칠 위험한 거울입니다."라며 이 책을 21세기 초입에 시도하는 광해군에 대한 새로운 반정(反正)이라 한다.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은 정반대로 왜곡된 광해군시대를 바로잡는다는 소극적 기획은 아니다. 이 책은 파(破)가 아닌 립(立)이다. 실패한 역사에서 더 배우자는 취지이다. 저자는 우리 시대 우리 국민들이 이 나라가 어떤 세상이 되길 원하는지 광해군과 그의 시대에서 배우길 권한다. 또한 광해군을 폐위시킨 뒤 이 땅에서 살아야 했던 조선 사람들에게 바치는 안타까운 위로, 역사적 연대의 편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