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철학적 사유와 인식 인도 불교철학에서 무아와 연기법 사유 커버
철학적 사유와 인식 인도 불교철학에서 무아와 연기법 사유
이재필
인도 불교철학의 핵심 사상인 무아와 연기법의 사유는 인류 철학사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독창적인 사유체계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붓다의 최초 깨달음으로부터 현대의 달라이 라마와 틱낫한에 이르기까지, 25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아시아 전역에서 발전해온 무아와 연기법 사유의 역사적 전개와 철학적 깊이를 탐구한다. 특히 우파니샤드 시대의 철학적 논쟁, 나가르주나의 중관사상, 바수반두의 유식철학 등 주요 사상가들의 핵심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불교철학의 본질적 통찰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고대 인도에서 시작된 무아와 연기법의 사유는 동아시아 전역으로 전파되며 각 지역의 문화와 만나 독특한 철학적 발전을 이루었다. 중국의 승조와 법장, 한국의 원효, 일본의 도겐과 같은 동아시아의 대사상가들은 인도불교의 무아와 연기 개념을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심화시켰다. 이들의 사상적 여정을 따라가며 불교철학이 어떻게 풍부한 사유의 전통으로 발전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현대 사회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심도 있게 고찰한다.

현대에 이르러 무아와 연기법의 사유는 과학기술, 심리학, 사회운동 등 다양한 분야와 만나며 새로운 해석의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달라이 라마의 과학과의 대화, 틱낫한의 평화운동, 암베드카르의 사회개혁론은 고대 불교철학의 핵심 통찰이 현대적 맥락에서 어떻게 재해석되고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책은 불교철학의 역사적 전개를 추적하면서도, 동시에 이 사상이 지닌 현대적 함의와 실천적 가치를 깊이 있게 조명한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10

파일 형식

ePub(872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