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 시렁등산이 싫은 사람들의 마운틴 클럽
윤성중 지음전국의 다양한 산을 종횡무진하며 감각적인 기사를 써온 《월간 山》 기자 윤성중이 히말라야 14좌, 남극 종단, 울트라마라톤 같은 서슬 퍼런 이야기 대신 가장 가깝게 산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등산 시렁》에서 윤성중은 산을 싫어하는 사람, 무서워하는 사람, 가본 적 없는 사람들과 함께 산에 오르며 장난스러운 대화를 이어간다. 오르막이 나타나면 얼른 시야를 가리며 화제를 돌리기도 하고 또 힘들어하는 기색이 보이면 속도를 더 줄여 1킬로미터의 풍경에 집중하게 한다.
모험이면서 투쟁이고, 사색의 길이기도 한 것이 등산이지만 소소한 담소 같은 윤성중의 안내를 따라 가다 보면, 산을 즐기는 데는 정말 제한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정상을 찾는 대신 중턱에 자리 잡고 그림을 그리거나, 책을 낭독하거나, 명상을 하기도 하며, 때론 말없이 걸으며 상대방에게 곁을 내어주면 슬픔을 자연스레 나누게 된다.
우리는 항상 ‘빠르게’ 행동할 것을 요구받는다. 빠르게 보고 듣고, 빠르게 결정하고, 빠르게 움직이느라 자신의 가능 속도를 외면하기도 한다. 빠르게 가느라 온전하게 가지 못할 때도 많다. 그러나 아주 천천히 걸을 때 보이는 풍경이 있다. 저 앞의 정상만이 아니라 바로 옆의 작은 꽃을 보게 된다. ‘천천히’는 ‘함께’를 불러오는 마법의 단어다. 장난기 가득한 질문을 쏟아내며 이끌어주는 안내를 받다 보면 우리는 ‘천천히의 미학’을 깨달으며 마치 산속 깊은 곳에서 명상을 한 듯한 휴식을 경험한다.
책 속에서 윤성중은 산을 좋아하냐고 반복적으로 묻는다. 이것은 아주 오랜 시간 산과 함께해온 자신에게 하는 질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산을 좋아하는 ‘윤성중’은 어떤 사람인가를 묻는 질문이기도 하다. 이렇게 자신을 탐색하는 유쾌한 질문들은 다시 독자들로 하여금 ‘나’를 생각해보게 하는데 바로 그 선명하고 기분 좋은 천천히의 비법이 이 책 안에 가득 들어 있다.
모험이면서 투쟁이고, 사색의 길이기도 한 것이 등산이지만 소소한 담소 같은 윤성중의 안내를 따라 가다 보면, 산을 즐기는 데는 정말 제한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정상을 찾는 대신 중턱에 자리 잡고 그림을 그리거나, 책을 낭독하거나, 명상을 하기도 하며, 때론 말없이 걸으며 상대방에게 곁을 내어주면 슬픔을 자연스레 나누게 된다.
우리는 항상 ‘빠르게’ 행동할 것을 요구받는다. 빠르게 보고 듣고, 빠르게 결정하고, 빠르게 움직이느라 자신의 가능 속도를 외면하기도 한다. 빠르게 가느라 온전하게 가지 못할 때도 많다. 그러나 아주 천천히 걸을 때 보이는 풍경이 있다. 저 앞의 정상만이 아니라 바로 옆의 작은 꽃을 보게 된다. ‘천천히’는 ‘함께’를 불러오는 마법의 단어다. 장난기 가득한 질문을 쏟아내며 이끌어주는 안내를 받다 보면 우리는 ‘천천히의 미학’을 깨달으며 마치 산속 깊은 곳에서 명상을 한 듯한 휴식을 경험한다.
책 속에서 윤성중은 산을 좋아하냐고 반복적으로 묻는다. 이것은 아주 오랜 시간 산과 함께해온 자신에게 하는 질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산을 좋아하는 ‘윤성중’은 어떤 사람인가를 묻는 질문이기도 하다. 이렇게 자신을 탐색하는 유쾌한 질문들은 다시 독자들로 하여금 ‘나’를 생각해보게 하는데 바로 그 선명하고 기분 좋은 천천히의 비법이 이 책 안에 가득 들어 있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