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주의 한 스푼 초법적 권력 사유화의 위험성과 대응 방안
최민재고대 로마에서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 이르기까지, 권력의 사유화는 인류 역사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어온 심각한 도전이었다. 본서는 카이사르의 로마 집권과 워터게이트 사건, 에르도안의 사법부 장악, 베를루스코니의 미디어 제국 건설, 마르코스의 국가기구 사유화 등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권력 사유화의 다양한 양상과 그 파괴적 결과를 세밀하게 분석한다. 특히 권력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법과 제도를 왜곡하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하는지 그 구체적 메커니즘을 파헤친다.
북한의 세습독재, 캄보디아 훈센의 장기집권, 짐바브웨 무가베의 선거제도 왜곡, 투르크메니스탄의 개인숭배 정치, 콩고 모부투의 국가자원 약탈 등 현대사의 주요 사례들은 권력 사유화가 한 사회에 얼마나 깊은 상처를 남기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저자는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권력 사유화가 단순한 정치적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근본적 붕괴를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그러나 본서는 비관적 전망에 그치지 않고 미국의 권력분립 제도, 스웨덴의 정보공개 시스템,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 국제형사재판소의 독재자 처벌 등 권력 견제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들도 심도 있게 다룬다. 위키리크스로 대표되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감시 체계까지 포함하여, 권력 사유화를 방지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들을 폭넓게 제시한다.
북한의 세습독재, 캄보디아 훈센의 장기집권, 짐바브웨 무가베의 선거제도 왜곡, 투르크메니스탄의 개인숭배 정치, 콩고 모부투의 국가자원 약탈 등 현대사의 주요 사례들은 권력 사유화가 한 사회에 얼마나 깊은 상처를 남기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저자는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권력 사유화가 단순한 정치적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근본적 붕괴를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그러나 본서는 비관적 전망에 그치지 않고 미국의 권력분립 제도, 스웨덴의 정보공개 시스템,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 국제형사재판소의 독재자 처벌 등 권력 견제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들도 심도 있게 다룬다. 위키리크스로 대표되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감시 체계까지 포함하여, 권력 사유화를 방지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들을 폭넓게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