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정한 거인평화를 부르는 고래의 생태·사회사
남종영 지음고래에 대한 설명으로 ‘경이로움’보다 더 적절한 말은 없을 것이다. 고래는 경이로움, 그 자체다. 다른 바다 동물들과 달리, 육지에서 바다로 되돌아간 고래는 엄청난 몸집부터 뛰어난 지능, 운동 능력, 생태와 문화까지 놀라운 이야기로 가득하다.
어느 영화에선가, 바다에 가본 적 없는 산적들에게 해적이었던 사내가 고래를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모닥불을 가운데 놓고 빙 둘러앉은 무리 바깥으로 둥근 원을 그리고 나서, 고래의 눈 크기가 이 정도라고 이야기한다. 이어서 고래의 크기와 생김새, 생태를 설명한다. 코는 머리 뒤쪽에 있고, 이빨 대신 수염으로 먹이를 잡아먹으며, 가끔씩 숨을 쉬러 바닷물 위로 나와 비처럼 물줄기를 뿜어댄다고 말이다. 또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인다는 이야기도 이어진다. 산적 무리는 거짓말을 한다면서 해적 출신 막내를 흠씬 두들겨 팬다. 영화를 보는 사람이야 고래의 생김새와 생태를 이미 알고 있으니 재미있게 웃어넘기지만, 고래를 본 적 없는 사람이라면 정말 그런 동물이 있다는 게 믿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고래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누이트의 여신 세드나 전설에, 구약성경 <요나서>에, 신드바드의 모험과 피노키오 이야기에 고래는 중요한 역할로 등장한다. 고래를 섬으로 착각했다는 이야기는 동서양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렇듯 사람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거대하고 영민한 동물이 바로 고래였다. 그래서 고래에 생활의 많은 부분을 의존했던 이누이트 부족은 고래 사냥에 나서기 전에 그리 까다로운 정화 의식을 치렀는지도 모른다.
어느 영화에선가, 바다에 가본 적 없는 산적들에게 해적이었던 사내가 고래를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모닥불을 가운데 놓고 빙 둘러앉은 무리 바깥으로 둥근 원을 그리고 나서, 고래의 눈 크기가 이 정도라고 이야기한다. 이어서 고래의 크기와 생김새, 생태를 설명한다. 코는 머리 뒤쪽에 있고, 이빨 대신 수염으로 먹이를 잡아먹으며, 가끔씩 숨을 쉬러 바닷물 위로 나와 비처럼 물줄기를 뿜어댄다고 말이다. 또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인다는 이야기도 이어진다. 산적 무리는 거짓말을 한다면서 해적 출신 막내를 흠씬 두들겨 팬다. 영화를 보는 사람이야 고래의 생김새와 생태를 이미 알고 있으니 재미있게 웃어넘기지만, 고래를 본 적 없는 사람이라면 정말 그런 동물이 있다는 게 믿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고래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누이트의 여신 세드나 전설에, 구약성경 <요나서>에, 신드바드의 모험과 피노키오 이야기에 고래는 중요한 역할로 등장한다. 고래를 섬으로 착각했다는 이야기는 동서양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렇듯 사람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거대하고 영민한 동물이 바로 고래였다. 그래서 고래에 생활의 많은 부분을 의존했던 이누이트 부족은 고래 사냥에 나서기 전에 그리 까다로운 정화 의식을 치렀는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