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자, 도와 덕이 실현된 삶
임헌규 지음'살림지식총서' 467권. 노자는 유가와 더불어 중국의 양대 사상인 도가의 창시자다. 도와 덕을 지시한 언어로 채워져 있어 흔히 '도덕경으'로 불리는 그의 저서 <노자>는 <주역>과 더불어 동양 형이상학의 최고의 원천이자 보고다. 그러나 자연주의로 정의되거나 허무주의.신비주의로 해석되는 등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었으며, 때로는 반유가적이고 권모술수를 꾀한다는 비판도 있었다.
저자는 이 책 <노자>에서 이러한 오해를 극복하고자 번역 대본으로 채택하는 왕필본 외에도 죽간본을 함께 비교하여 해석상 쟁점이 되는 부분을 설명하였고, 노자 철학의 근본적인 의미를 올바르게 담으려 노력하고 있다.
또한 노자 철학의 출발점이 되는 시대적 사조를 세계문화사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으며, <노자>의 주제인 도와 덕이란 무엇이며 도와 덕은 어떻게 체득하여 실천할 수 있는 지 동서 비교철학사적인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와 덕을 체득한 성인(聖人)을 보편적 철학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저자는 이 책 <노자>에서 이러한 오해를 극복하고자 번역 대본으로 채택하는 왕필본 외에도 죽간본을 함께 비교하여 해석상 쟁점이 되는 부분을 설명하였고, 노자 철학의 근본적인 의미를 올바르게 담으려 노력하고 있다.
또한 노자 철학의 출발점이 되는 시대적 사조를 세계문화사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으며, <노자>의 주제인 도와 덕이란 무엇이며 도와 덕은 어떻게 체득하여 실천할 수 있는 지 동서 비교철학사적인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와 덕을 체득한 성인(聖人)을 보편적 철학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