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팔봉 초한지 5
원저 견위/평역 김팔봉공전의 베스트셀러 <통일천하>의 원작
<김팔봉 초한지> 36년 만의 재출간!
무조건 재미있다.
책 소개
팔봉 김기진 선생이 ‘통일천하(統一天下)’라는 제목으로 <동아일보>에 『초한지(楚漢誌)』를 연재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전쟁 휴전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54년 3월이다. 이 작품은 다음 해 10월까지 총 562회를 연재하는 동안 독자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받았다. 팔봉 선생은 ‘통일천하’ 연재가 성공리에 끝나자 곧바로 같은 제목의 단행본을 간행했다가 1984년에 어문각에서 이전의 ‘통일천하’를 다시 단행본으로 펴내며 제명을 『초한지』로 변경했다. 그러면서도 ‘통일천하’라는 옛 제목을 왼편에 그대로 살려둔 것은 아마도 옛 제목인 ‘통일천하’가 지닌 대중적 친숙함과 성공에 대한 기억 때문이었을 것이다. 국내 독자들에게 친숙한 <초한지>라는 이름이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역사와 사연을 가지고 있는 『초한지』, 그중에서도 거의 창작에 가까운 번역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의 구미에 맞게 변형된, 어떤 번역보다도 역자의 노고가 깊게 서려 있는 팔봉 선생의 『초한지』가 36년 만에 참신한 모습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책 속으로
5권
한신이 이렇게 길게 변명을 아뢰었건만, 황제의 얼굴에서는 여전히 노기가 풀리지 않았다. 그리고 한신을 꾸짖었다.
“짐이 전일 너에게 제나라를 정벌하라 했을 때 속히 평정하지 않기에 따로이 역이기로 하여금 제왕을 설복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너는 조칙을 어기고 제나라를 공격해 마침내 역이기를 참살당하게 한 후 방자스럽게도 스스로 제왕이 되겠다고 하지 않았느냐? 그 후로도 짐이 성고땅에 포위당하고 있을 때 구원을 오라 하였건만 너는 앉아서 승부만 구경하고 있지 않았느냐? 근자에 와서는 초왕으로 개봉한 것을 너는 부족하게 여기고 비밀히 모반하려고 했으니, 네 죄는 이같이 허다하다! 짐은 이 죄를 법으로 다스리련다. 네 죄가 없단 말이 웬 말이냐!”
한신은 이 소리를 듣고 그만 장탄식을 토했다.
“아아! 높이 뜨는 새가 없어졌으니 큰 활이 소용없고, 토끼를 다 잡았으니 개를 잡는다(高鳥盡而良弓藏 狡兎死而走狗烹) 하고, 적국을 격파했으니 모신이 망한다(敵國破而謀臣亡)고 하더니, 과연 이 말이 나를 두고 한 말이로다! 천하를 평정했대서 이제는 내가 죽을 차례가 되었으니 슬퍼하지도 말자!”
한신이 한숨을 쉬며 혼잣말처럼 이렇게 탄식하는 소리를 황제는 들었다. 이때 그의 마음 한구석에서 언짢은 생각이 치밀어 올라왔다. 의심과 불안과 미움이 크기는 하나, 땅 위에 결박되어 앉아 있는 한신의 모양과 지금 입 밖에 낸 그의 진정인 것 같은 탄식소리는 황제의 마음을 풀어지게 했다.
‘어찌할까? …우선 함양으로 돌아가서 서서히 생각해보자….’ -한신의 이심 중에서
칙사의 목을 베어버리고도 영포는 분함을 참을 수 없는 듯이 씨근벌떡거렸다.
“이놈들! 가만히 두고 보자니까 못하는 짓이 없구나! 한신을 죽이고 진희를 죽이고, 이제와서는 팽월을 죽여 그 고기로 장육을 만들어 천하에 돌리다니… 죽일 놈 같으니라구….”
그는 누구를 가지고 욕하는지 이렇게 중얼거리고,
“자아, 그만 돌아가자!”
하고 호령을 했다. 신하들은 칙사가 끔찍하게도 목이 떨어져 죽어버리는 광경을 보고 간담이 서늘하던 판이라 일제히 일어서서 영포의 뒤를 따라 누각에서 내려왔다.
영포는 왕궁으로 돌아온 즉시 한나라 황제를 배반하고, 황제를 공격해 없애버리기로 결심했다는 격문을 천하에 고하게 하는 동시에, 수하에 있는 정병 이십만 명을 정검(整檢)하고 각처로부터 더욱 장정을 모집시켰다.
그러자 이틀 후에 삼베로 지은 베옷을 입고, 지팡이를 짚은 오십여 세 되어 보이는 사람이, 궁문 밖에서 회남왕에게 면회를 청한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영포는 베옷을 입은 중늙은이가 찾아왔다는 말을 듣고 이번에 횡사한 팽월과 관련되는 사람인 듯싶은 생각이 나서, 즉시 들어오라고 명령했다.
베옷을 입은 사람은 영포 앞에 나와서 인사를 드리고 아뢰었다.
“신은 양나라의 난포라는 사람이옵니다. 대왕께서는 양왕이 굴사(屈死)한 사실을 상세히 아셨사옵니까?”
“자세히 알지 못하오. 다만, 양왕의 육신을 가지고 장육을 만들어 보냈기에 내가 한황(漢皇)을 멸해버리려고 군사를 일으켰소!”
영포의 대답을 듣고 난포는 팽월이 죽게 된 경과를 자세히 이야기했다. 그리고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양왕께서 대왕과 함께 협력하시어 허다한 대공훈을 세우셨건만 지금 와서는 모두 다 그림의 떡이 되고 말았습니다. 만일 전일에 한후(한신)께서 양왕과 대왕과 합심해 협력하지 않았던들, 한왕이 어떻게 초나라를 멸해버리고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겠사옵니까? 지금 와서 까닭 없이 한신과 양왕을 죽이고 삼족을 멸해버리니, 이제는 남아 있는 사람이 오직 대왕 한 사람뿐이옵니다! 그런고로 대왕께서 만일 힘을 다하시어 두 분 임금님의 원수를 갚으신다면 결코 두 분 임금님과 같은 화(禍)는 받지 않으실 것이옵니다.”
영포는 난포의 말을 듣고 시커먼 얼굴에 만족한 웃음을 띠면서 기뻐했다.
-영포의 반란 중에서
<김팔봉 초한지> 36년 만의 재출간!
무조건 재미있다.
책 소개
팔봉 김기진 선생이 ‘통일천하(統一天下)’라는 제목으로 <동아일보>에 『초한지(楚漢誌)』를 연재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전쟁 휴전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54년 3월이다. 이 작품은 다음 해 10월까지 총 562회를 연재하는 동안 독자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받았다. 팔봉 선생은 ‘통일천하’ 연재가 성공리에 끝나자 곧바로 같은 제목의 단행본을 간행했다가 1984년에 어문각에서 이전의 ‘통일천하’를 다시 단행본으로 펴내며 제명을 『초한지』로 변경했다. 그러면서도 ‘통일천하’라는 옛 제목을 왼편에 그대로 살려둔 것은 아마도 옛 제목인 ‘통일천하’가 지닌 대중적 친숙함과 성공에 대한 기억 때문이었을 것이다. 국내 독자들에게 친숙한 <초한지>라는 이름이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역사와 사연을 가지고 있는 『초한지』, 그중에서도 거의 창작에 가까운 번역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의 구미에 맞게 변형된, 어떤 번역보다도 역자의 노고가 깊게 서려 있는 팔봉 선생의 『초한지』가 36년 만에 참신한 모습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책 속으로
5권
한신이 이렇게 길게 변명을 아뢰었건만, 황제의 얼굴에서는 여전히 노기가 풀리지 않았다. 그리고 한신을 꾸짖었다.
“짐이 전일 너에게 제나라를 정벌하라 했을 때 속히 평정하지 않기에 따로이 역이기로 하여금 제왕을 설복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너는 조칙을 어기고 제나라를 공격해 마침내 역이기를 참살당하게 한 후 방자스럽게도 스스로 제왕이 되겠다고 하지 않았느냐? 그 후로도 짐이 성고땅에 포위당하고 있을 때 구원을 오라 하였건만 너는 앉아서 승부만 구경하고 있지 않았느냐? 근자에 와서는 초왕으로 개봉한 것을 너는 부족하게 여기고 비밀히 모반하려고 했으니, 네 죄는 이같이 허다하다! 짐은 이 죄를 법으로 다스리련다. 네 죄가 없단 말이 웬 말이냐!”
한신은 이 소리를 듣고 그만 장탄식을 토했다.
“아아! 높이 뜨는 새가 없어졌으니 큰 활이 소용없고, 토끼를 다 잡았으니 개를 잡는다(高鳥盡而良弓藏 狡兎死而走狗烹) 하고, 적국을 격파했으니 모신이 망한다(敵國破而謀臣亡)고 하더니, 과연 이 말이 나를 두고 한 말이로다! 천하를 평정했대서 이제는 내가 죽을 차례가 되었으니 슬퍼하지도 말자!”
한신이 한숨을 쉬며 혼잣말처럼 이렇게 탄식하는 소리를 황제는 들었다. 이때 그의 마음 한구석에서 언짢은 생각이 치밀어 올라왔다. 의심과 불안과 미움이 크기는 하나, 땅 위에 결박되어 앉아 있는 한신의 모양과 지금 입 밖에 낸 그의 진정인 것 같은 탄식소리는 황제의 마음을 풀어지게 했다.
‘어찌할까? …우선 함양으로 돌아가서 서서히 생각해보자….’ -한신의 이심 중에서
칙사의 목을 베어버리고도 영포는 분함을 참을 수 없는 듯이 씨근벌떡거렸다.
“이놈들! 가만히 두고 보자니까 못하는 짓이 없구나! 한신을 죽이고 진희를 죽이고, 이제와서는 팽월을 죽여 그 고기로 장육을 만들어 천하에 돌리다니… 죽일 놈 같으니라구….”
그는 누구를 가지고 욕하는지 이렇게 중얼거리고,
“자아, 그만 돌아가자!”
하고 호령을 했다. 신하들은 칙사가 끔찍하게도 목이 떨어져 죽어버리는 광경을 보고 간담이 서늘하던 판이라 일제히 일어서서 영포의 뒤를 따라 누각에서 내려왔다.
영포는 왕궁으로 돌아온 즉시 한나라 황제를 배반하고, 황제를 공격해 없애버리기로 결심했다는 격문을 천하에 고하게 하는 동시에, 수하에 있는 정병 이십만 명을 정검(整檢)하고 각처로부터 더욱 장정을 모집시켰다.
그러자 이틀 후에 삼베로 지은 베옷을 입고, 지팡이를 짚은 오십여 세 되어 보이는 사람이, 궁문 밖에서 회남왕에게 면회를 청한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영포는 베옷을 입은 중늙은이가 찾아왔다는 말을 듣고 이번에 횡사한 팽월과 관련되는 사람인 듯싶은 생각이 나서, 즉시 들어오라고 명령했다.
베옷을 입은 사람은 영포 앞에 나와서 인사를 드리고 아뢰었다.
“신은 양나라의 난포라는 사람이옵니다. 대왕께서는 양왕이 굴사(屈死)한 사실을 상세히 아셨사옵니까?”
“자세히 알지 못하오. 다만, 양왕의 육신을 가지고 장육을 만들어 보냈기에 내가 한황(漢皇)을 멸해버리려고 군사를 일으켰소!”
영포의 대답을 듣고 난포는 팽월이 죽게 된 경과를 자세히 이야기했다. 그리고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양왕께서 대왕과 함께 협력하시어 허다한 대공훈을 세우셨건만 지금 와서는 모두 다 그림의 떡이 되고 말았습니다. 만일 전일에 한후(한신)께서 양왕과 대왕과 합심해 협력하지 않았던들, 한왕이 어떻게 초나라를 멸해버리고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겠사옵니까? 지금 와서 까닭 없이 한신과 양왕을 죽이고 삼족을 멸해버리니, 이제는 남아 있는 사람이 오직 대왕 한 사람뿐이옵니다! 그런고로 대왕께서 만일 힘을 다하시어 두 분 임금님의 원수를 갚으신다면 결코 두 분 임금님과 같은 화(禍)는 받지 않으실 것이옵니다.”
영포는 난포의 말을 듣고 시커먼 얼굴에 만족한 웃음을 띠면서 기뻐했다.
-영포의 반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