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김팔봉 초한지 2 커버
김팔봉 초한지 2
원저 견위/평역 김팔봉
공전의 베스트셀러 <통일천하>의 원작
<김팔봉 초한지> 36년 만의 재출간!
무조건 재미있다.

책 소개

팔봉 김기진 선생이 ‘통일천하(統一天下)’라는 제목으로 <동아일보>에 『초한지(楚漢誌)』를 연재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전쟁 휴전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54년 3월이다. 이 작품은 다음 해 10월까지 총 562회를 연재하는 동안 독자들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받았다. 팔봉 선생은 ‘통일천하’ 연재가 성공리에 끝나자 곧바로 같은 제목의 단행본을 간행했다가 1984년에 어문각에서 이전의 ‘통일천하’를 다시 단행본으로 펴내며 제명을 『초한지』로 변경했다. 그러면서도 ‘통일천하’라는 옛 제목을 왼편에 그대로 살려둔 것은 아마도 옛 제목인 ‘통일천하’가 지닌 대중적 친숙함과 성공에 대한 기억 때문이었을 것이다. 국내 독자들에게 친숙한 <초한지>라는 이름이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역사와 사연을 가지고 있는 『초한지』, 그중에서도 거의 창작에 가까운 번역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의 구미에 맞게 변형된, 어떤 번역보다도 역자의 노고가 깊게 서려 있는 팔봉 선생의 『초한지』가 36년 만에 참신한 모습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책 속으로

2권

범증은 항우를 따라 방에 들어오면서도 오늘밤에 패공을 없애버리려고 하던 자기의 계책이 틀려버린 것 때문에 심기가 무척 불편했다. 패공을 그냥 두었다가는 천하는 패공의 것이 되고 만다. 그러므로 한시바삐 없애버려야만 한다. 그런 것을 항우가 항백의 말을 듣고 패공에게 죄가 없다는 말을 믿으니 이것이 답답한 노릇이었다. 그래서 범증은 항우가 자리에 앉자마자 그 곁으로 가서 차근차근 말을 했다.
“내 말을 들으십시오. 패공을 그대로 두었다가는 후일에 큰 화근덩어리가 될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 죽여 없애야 합니다….”
“글쎄 우리 숙부의 말씀이 일리가 있지 않습니까? 내가 패공을 야심 삼경에 엄습해 죽인다면 세상 사람들이 나를 겁쟁이라고 할 것 같기에 그만두라는 것입니다.”
-홍문의 연회 중에서

항우가 논공행상을 기록시킨 것은 대략 다음과 같았다.
패공은 한왕이 되어 촉 땅의 사십일 현(縣)을 통치하고, 장한은 옹왕(雍王)이 되어 상진(上泰)의 삼십팔 현, 사마흔은 새왕(塞王)이 되어 하진(下泰)의 십일 현, 동예는 곽왕(?王)이 되어 중진(中泰)의 삼십 현, 신양을 하남왕(河南王), 사마앙을 은왕(殷王), 영포를 구강왕(九江王), 공오(傲共)를 임강왕(臨江王), 오예(吳芮)를 형산왕(衡山王), 전안(田安)을 제북왕(濟北王), 위표를 서위왕(西魏王), 장이를 상산왕(常山王), 장도(藏茶)를 연왕(燕王), 조헐(趙歇)을 조왕(趙王), 전횡(田橫)을 상제왕(上齊王), 전욱(田郁)을 중제왕(中齊王), 정창(鄭昌)을 한왕(韓王), 진승을 양왕(染王), 전영(田榮)을 전제왕(前齊王), 전경(田慶)을 전조왕(前趙王), 전여를 함안군(咸安君), 항장을 교동왕(交東王), 항정을 춘승군(春勝君), 항원을 안승군(安勝君), 범증을 승상으로 하고 존칭을 아부(亞父)라 했으며, 항백을 상서령(尙書令), 종리매를 우사마, 계포를 좌사마, 옹치를 우장군, 정공을 좌장군, 용저를 대사마, 진평을 도위(都尉), 한생(韓生)을 좌간의(左諫議), 무섭(武涉)을 우간의(右諫議), 환초를 대장군, 우영(干英)을 인전장군(引戰將軍), 우자기를 대장군, 한신을 집극랑으로 각각 발령했다.
천하 제후로부터 서초패왕 항우에 딸리는 미관말직에 이르기까지 논공행상이 끝난 뒤에 큰 잔치가 베풀어졌다. -바뀌는 세상 중에서
바쁜 시간, 짧은 요약을 통해 취향에 맞는 책을 발견하게 도와드리는 AI 북몬스터입니다

출간일

전자책 : 2019-12-10

파일 형식

ePub(1.48 M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