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짜 자존감스스로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브뤼노 우르스트 지음, 김혜영 옮김아동이나 청소년이 보이는 불안한 행동들의 이면에는 어떤 의미들이 숨어 있을까? 아이들이 공격성이나 폭력성을 보이거나 무기력한 태도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왜 사랑받지 못한다고 생각하거나 자기를 비하하고 학교를 거부할까? 자기 자신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자신을 둘러싼 세상까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어떤 사람이 되어가는 과정은 태어난 그 순간부터 그를 둘러싼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시작된다. 그 환경의 범위는 일단 가까운 가족에서 출발하여 교육제도의 틀인 학교로 이어진다. 아이는 그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가야 하는데 부정적 환경으로 인해 자존감이 바르게 형성되지 못하게 되면 남보다 훨씬 더 험난한 인생을 살아야 한다.
반면 건강하고 균형 있는 자존감을 갖춘 아이는 행복의 열쇠를 이미 손에 쥐고 있는 것과 같다. 건강한 자존감을 가진 아이는 새로운 사상과 경험, 가능성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이나 비판에 대한 열린 태도를 지닌다. 삶을 이해하는 방식도 남다르다.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변화에 대처하는 데 유연하며, 스스로 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줄 안다. 인격적으로도 겸손하고 공손하며 관용을 베풀 줄 안다.
건강한 학습 환경을 연구한 교육가로서 저자는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시급하고 필요한 것이 자존감임을 강조하며 이 책에 그간의 연구와 생각을 집약했다. 먼저 자존감의 개념 및 긍정적.부정적 증상들과 자존감의 기초가 되는 긍정적 감정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 정리하였다. 아울러 아이의 자존감을 바로 세우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부모의 자존감 또한 아이의 자존감과 함께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독려한다.
어떤 사람이 되어가는 과정은 태어난 그 순간부터 그를 둘러싼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시작된다. 그 환경의 범위는 일단 가까운 가족에서 출발하여 교육제도의 틀인 학교로 이어진다. 아이는 그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가야 하는데 부정적 환경으로 인해 자존감이 바르게 형성되지 못하게 되면 남보다 훨씬 더 험난한 인생을 살아야 한다.
반면 건강하고 균형 있는 자존감을 갖춘 아이는 행복의 열쇠를 이미 손에 쥐고 있는 것과 같다. 건강한 자존감을 가진 아이는 새로운 사상과 경험, 가능성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이나 비판에 대한 열린 태도를 지닌다. 삶을 이해하는 방식도 남다르다.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변화에 대처하는 데 유연하며, 스스로 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줄 안다. 인격적으로도 겸손하고 공손하며 관용을 베풀 줄 안다.
건강한 학습 환경을 연구한 교육가로서 저자는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시급하고 필요한 것이 자존감임을 강조하며 이 책에 그간의 연구와 생각을 집약했다. 먼저 자존감의 개념 및 긍정적.부정적 증상들과 자존감의 기초가 되는 긍정적 감정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 정리하였다. 아울러 아이의 자존감을 바로 세우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부모의 자존감 또한 아이의 자존감과 함께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독려한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