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의 인사정책과 리더십망국의 군주, 개혁군주의 이중성
장영숙 지음고종 시리즈. 고종의 인사정책의 실상을 알아보면서 고종이 치세 기간 동안 인재 발탁은 어떤 방식으로 했는지, 국정 운영의 특징은 무엇인지,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최고 집권자로서 어떻게 대응했는지 같은 문제를 고찰하며 고종 리더십의 본질을 분석하였다.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국정 운영 자세와 리더십은 때로는 탐색하고 인내하면서 조용하고 온유한 리더십의 전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에 표출된 고종의 방관적·회피적·소극적 리더십은 급변하는 시대의 조류와 조응하지 못함은 물론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요인이었다.
또한 정치개혁론을 탄력적으로 구사한 적극적 리더십의 일단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시대의 요구를 적절하게 담아내지 못하고, 황제 자신이 전근대적 관념 속에 머물면서 국제정세의 흐름과 유리된 길을 걸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 책을 통해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리더십의 성격과 고종이 발휘한 리더십은 어떤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었는지, 시대의 흐름과는 어떤 부조화 속에 있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국정 운영 자세와 리더십은 때로는 탐색하고 인내하면서 조용하고 온유한 리더십의 전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에 표출된 고종의 방관적·회피적·소극적 리더십은 급변하는 시대의 조류와 조응하지 못함은 물론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요인이었다.
또한 정치개혁론을 탄력적으로 구사한 적극적 리더십의 일단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시대의 요구를 적절하게 담아내지 못하고, 황제 자신이 전근대적 관념 속에 머물면서 국제정세의 흐름과 유리된 길을 걸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 책을 통해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리더십의 성격과 고종이 발휘한 리더십은 어떤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었는지, 시대의 흐름과는 어떤 부조화 속에 있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