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근대 이솝우화 연구
최나 지음세계 고전인 이솝우화는 오랫동안 동서양의 요소를 아우르면서 전해져 내려온, 인류 공동체의 대표적인 지혜가 담긴 집단 창작물이다. 기원전 6세기경의 그리스 노예인 이솝의 이름으로 귀결되는 우화에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선을 강조한 것 외에도 이분법적 사고와 흑백논리, 힘의 논리, 편견의 역전, 가치와 지혜의 중요성이 주축을 이룬다.
서양의 대표적인 가치관을 담은 이솝우화는 근대에 이르러 본격적인 서세동점의 확장과 더불어 동아시아에 전해졌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전래동화나 창작동화와 함께 교육이나 출판의 영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학 작품 혹은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선별 기준을 정하여 이솝우화를 정리하고, 이솝우화가 서학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의 현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근대 매체에 가장 많이 수록된 이솝우화를 선별하여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대응하는 이야기를 찾아 그 변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서양의 대표적인 가치관을 담은 이솝우화는 근대에 이르러 본격적인 서세동점의 확장과 더불어 동아시아에 전해졌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전래동화나 창작동화와 함께 교육이나 출판의 영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학 작품 혹은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선별 기준을 정하여 이솝우화를 정리하고, 이솝우화가 서학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근대 매체에 수록된 이솝우화의 현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근대 매체에 가장 많이 수록된 이솝우화를 선별하여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대응하는 이야기를 찾아 그 변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