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간본 분류두공부시언해 한자어 의미 연구
지성녀 지음이 책은 초간본(初刊本)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1481년)에 쓰인 2음절 한자어(漢字語)를 품사별(品詞別)로 분류하여 그것들의 의미(意味)를 통시적인 방법으로 분석.정리한다. 나아가 2음절 漢字語의 意味변화 방향과 意味변화 유형을 살펴보고 한국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추가하고 보충할 표제항과 뜻풀이 보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앞으로 한국에서 어원사전이나 통시적인 사전 편찬에 도움이 될 것이고, 한국 漢字語의 계보(系譜 Genealogy)별 연구에도 언어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중국 어휘와 밀접한 혈연관계에 있는 한국 漢字語는 고대의 문화 정보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체계성이 강한 고대 독음(讀音)을 보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통시적인 연구는 한어어음사(漢語語音史)와 한어어휘사(漢語詞彙史) 연구에도 중요한 언어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앞으로 한국에서 어원사전이나 통시적인 사전 편찬에 도움이 될 것이고, 한국 漢字語의 계보(系譜 Genealogy)별 연구에도 언어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중국 어휘와 밀접한 혈연관계에 있는 한국 漢字語는 고대의 문화 정보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체계성이 강한 고대 독음(讀音)을 보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통시적인 연구는 한어어음사(漢語語音史)와 한어어휘사(漢語詞彙史) 연구에도 중요한 언어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