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 동의보감
유석종이 책은 『동의보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글로 설명한 것으로, 그중에서도 내경편, 외형편, 잡병편, 탕액침구편의 주요 내용을 간추려 출간하였다.
『동의보감』은 1610년 조선시대 의관 허준이 중국과 조선의 의서를 집대성하여 저술한 의서로서, 대한민국의 국보인 동시에 동아시아 최고의 한방의서로 여겨지고 있다. 『한글 동의보감』은 그 해석본으로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한의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의의를 둔다.
이 책은 내경과 외형 편으로부터 시작하여 잡병의 여러 가지 처방에 이르기까지 분류하였으며 맥결, 증후론, 약성, 치료법, 섭생에 대한 요점과 침과 뜸에 대한 모든 규범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써 놓았다.
『동의보감』은 1610년 조선시대 의관 허준이 중국과 조선의 의서를 집대성하여 저술한 의서로서, 대한민국의 국보인 동시에 동아시아 최고의 한방의서로 여겨지고 있다. 『한글 동의보감』은 그 해석본으로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한의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의의를 둔다.
이 책은 내경과 외형 편으로부터 시작하여 잡병의 여러 가지 처방에 이르기까지 분류하였으며 맥결, 증후론, 약성, 치료법, 섭생에 대한 요점과 침과 뜸에 대한 모든 규범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써 놓았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