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더들이 몰래 읽는 한비자
한덕수 지음리더를 기르는 한비의 ‘인간심리 보고서’. <한비자>에는 군주, 곧 리더를 가르치기 위한 여러 사례들이 풍부하게 나온다. ‘창과 방패’, ‘송나라 농부와 토끼’, ‘화씨벽’ 등 중국 고대부터 전해져내려오는 이야기들을 쓰임에 맞게 들려주며, 군주의 입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를 적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거짓말과 속임수를 써서 상대방의 수상한 점을 시험해보면 숨겨진 나쁜 짓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견해는 군주가 ‘법, 술, 세’를 이용하여 신하들을 통제할 수 있는 방책인데, 공자의 사상에 익숙한 우리들에게는 조금 낯설다. 사실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현대사회에서는 오너와 직원, 상사와 부하직원의 관계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한비자>는 ‘지배하려는 자’와 ‘지배당하지 않으려는 자’의 심리전쟁으로도 읽힌다.
그러함에도 <한비자>는 끝까지 책을 손에서 내려놓을 수가 없다. 사람의 관계는 큰산의 능선처럼 끝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내가 군주(리더)로도, 신하(부하)로도 얼마든지 치환되어 읽힌다. <한비자>는 읽는 이로 하여금 군주도 되어보고 신하의 입장도 되어보게 하면서, 달의 뒷면 같은 인간의 어두운 면까지도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한다. 그리하여 품이 넓은 리더, 사람을 이해하는 리더로 거듭나게 만든다.
저자는 <리더들이 몰래 읽는 한비자>이지만, 리더들, 앞으로 리더가 될 현대인들이 품 넓은 진정한 리더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이 책을 썼다. <한비자> 총 55편 중 현대적 의의가 있는 부분들을 발췌, 완역하고 해설하여 이해를 도왔다.
이와 같은 견해는 군주가 ‘법, 술, 세’를 이용하여 신하들을 통제할 수 있는 방책인데, 공자의 사상에 익숙한 우리들에게는 조금 낯설다. 사실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현대사회에서는 오너와 직원, 상사와 부하직원의 관계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한비자>는 ‘지배하려는 자’와 ‘지배당하지 않으려는 자’의 심리전쟁으로도 읽힌다.
그러함에도 <한비자>는 끝까지 책을 손에서 내려놓을 수가 없다. 사람의 관계는 큰산의 능선처럼 끝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내가 군주(리더)로도, 신하(부하)로도 얼마든지 치환되어 읽힌다. <한비자>는 읽는 이로 하여금 군주도 되어보고 신하의 입장도 되어보게 하면서, 달의 뒷면 같은 인간의 어두운 면까지도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한다. 그리하여 품이 넓은 리더, 사람을 이해하는 리더로 거듭나게 만든다.
저자는 <리더들이 몰래 읽는 한비자>이지만, 리더들, 앞으로 리더가 될 현대인들이 품 넓은 진정한 리더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이 책을 썼다. <한비자> 총 55편 중 현대적 의의가 있는 부분들을 발췌, 완역하고 해설하여 이해를 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