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사회과학의 지평 지역특화 직업훈련으로 인력 미스매치 해소 커버
사회과학의 지평 지역특화 직업훈련으로 인력 미스매치 해소
조민성
산업구조 고도화와 기술혁신이 가속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지역별 산업 생태계와 인력수급 불균형 문제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서는 1960년대 산업화 시대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각 지역의 주력산업 변화와 인력수급 문제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울산 조선업, 구미 전자산업, 창원 기계산업 등 대표적 산업도시들의 특화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특히 현대중공업, 삼성전자, LG전자 등 글로벌 기업들의 지역 맞춤형 인재육성 프로그램과 산학협력 성공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직업훈련 모델을 제시한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훈련수요 예측, 메타버스 기반의 혁신적 교육훈련 방법론, 산학일체형 직업훈련 시스템 등 미래지향적 인재양성 전략을 구체적 실행사례와 함께 소개한다. 독일 도르트문트와 일본 나고야 등 해외 산업도시의 성공적인 직업훈련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발전방안을 도출하고,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의 특화산업 육성정책과 직업훈련 지원제도를 비교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시대를 맞아 산업구조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지역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인재육성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서는 군산과 통영의 조선업 위기극복 사례, 울산과 전북의 수소산업 클러스터 조성과정 등을 통해 산업구조 전환기의 효과적인 인력양성 전략을 제시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성과관리체계 구축방안과 AI 일자리 매칭 플랫폼 등 혁신적 해결방안을 종합적으로 조망한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08

파일 형식

ePub(866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