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의 한자 및 한문 표기와 자료
박형익 지음인류의 역사에서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문자언어 자료가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현전한다. 이 자료들을 검색하여 특정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한 다음 목록을 만드는 작업은 우리의 정체성 확립뿐만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문화적 자긍심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이러한 목록 작업은 언어학 측면에서도 특히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하는 데 있어 기본적으로 마련해야 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언어 자료 목록은 언어 자료의 빅 데이터를 구축할 때에도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목록 작업은 언어학 측면에서도 특히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하는 데 있어 기본적으로 마련해야 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언어 자료 목록은 언어 자료의 빅 데이터를 구축할 때에도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