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무드 미쉬나 63권 전집 (영어판)
여후다 하나시탈무드는 ‘가르침’ 혹은 ‘배움’이란 뜻으로 어원은 라마드LMD에서 파생된 것으로 유대교 랍비의 중심문헌을 일컫는다. 전통적으로는 “샤스 ”라고도 한다. 샤스는 “쉬샤 세다림(여섯 가지 체계six orders)”의 약어이며 미쉬나의 여섯 체계(6부)를 가리킨다.
예루살렘 탈무드(혹은 팔레스타인 탈무드)가 일찍 기록되긴 했지만 일반적으로 “탈무드”는 바벨론 탈무드(탈무드 바블리)를 가리킨다. 탈무드는 유대교 랍비의 구전토라를 집대성한 미쉬나(서기 200년)와, 구약성경을 비롯한 여러 주제를 토론한 게마라(서기 500년)로 구성되어 있다. “탈무드”는 미쉬나 본문과 게마라의 통칭으로 쓰이나 때로는 게마라만을 지칭할 때도 있다. 탈무드 전권은 63권이며 6,200페이지가 넘는다. 기록 언어는 탄나임(랍비)이 구사하던 히브리어와 고대 아람어이며 여기에는 기원전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랍비 수천 명의 가르침과 소견이 담겨 있다.
이를테면 율법(할라하)을 비롯하여 유대교 윤리와 철학, 관습, 역사, 설화 등, 주제도 다양하다. 탈무드는 랍비 문헌에 널리 인용되며 유대교 율법의 근간을 이룬다.
예루살렘 탈무드(혹은 팔레스타인 탈무드)가 일찍 기록되긴 했지만 일반적으로 “탈무드”는 바벨론 탈무드(탈무드 바블리)를 가리킨다. 탈무드는 유대교 랍비의 구전토라를 집대성한 미쉬나(서기 200년)와, 구약성경을 비롯한 여러 주제를 토론한 게마라(서기 500년)로 구성되어 있다. “탈무드”는 미쉬나 본문과 게마라의 통칭으로 쓰이나 때로는 게마라만을 지칭할 때도 있다. 탈무드 전권은 63권이며 6,200페이지가 넘는다. 기록 언어는 탄나임(랍비)이 구사하던 히브리어와 고대 아람어이며 여기에는 기원전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랍비 수천 명의 가르침과 소견이 담겨 있다.
이를테면 율법(할라하)을 비롯하여 유대교 윤리와 철학, 관습, 역사, 설화 등, 주제도 다양하다. 탈무드는 랍비 문헌에 널리 인용되며 유대교 율법의 근간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