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길순례평안의 불길을 찾아 봉수대 여행을 떠나다
박영익 지음우리나라에서 약 120년 전까지 사용하였던 봉수는 과학적으로 잘 갖추어진 통신 방법이다. 봉수대에서는 낮에는 연기를 이용하고, 밤에는 불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먼 곳까지 신속하게 전달하였다. 신호가 전달하는 내용은 봉수대의 굴뚝에서 올리는 연기나 불꽃의 수에 따라 달랐다.
이렇게 연기나 불빛을 이용하여 만든 신호는 인근의 봉수대에 차례대로 전달되어 한양(현재의 서울)까지 전달되었다. 봉수대는 전국에 600개 이상이다. 높은 산의 정상에 세워졌던 봉수대 자리는 지금의 전파 중계소가 있는 곳과 거의 같다. 선조들을 지켜주던 봉수대. 봉수대를 통해 소곤소곤 옛이야기를 전해주는 <불길순례>는 우리에게 선조의 얼과 함께 전해 내려오는 기상과 추억을 되짚는다.
이렇게 연기나 불빛을 이용하여 만든 신호는 인근의 봉수대에 차례대로 전달되어 한양(현재의 서울)까지 전달되었다. 봉수대는 전국에 600개 이상이다. 높은 산의 정상에 세워졌던 봉수대 자리는 지금의 전파 중계소가 있는 곳과 거의 같다. 선조들을 지켜주던 봉수대. 봉수대를 통해 소곤소곤 옛이야기를 전해주는 <불길순례>는 우리에게 선조의 얼과 함께 전해 내려오는 기상과 추억을 되짚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