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 영어교사를 위한 영어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이성희 지음본서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영어 교재의 전반적인 경향을 기독교적 시각에서 재조명하고, 영어 교재를 정의하며, 그 중요성 및 역할을 논하였다. 후반부에서는 성령의 지도와 영어 교재 연구 및 지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기독교 영어 교육과정의 기초를 이루는 기독교 영어교육의 목표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그 다음에 교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영어과 교육과정과 교재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시각 교재, 일방향(one-way) 시청각 교재, 컴퓨터 기반 멀티미디어 교재, 온라인(on-line) 영어 학습 전용 교재, 그리고 코퍼스 구축 초기의 성경의 역할과 코퍼스 연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주로 제3장에서 다룬 교재들을 중심으로 그 교수법을 탐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전반적인 영어 교재 평가의 추세를 기독교적 시각에서 재조명하고, 영어 교재의 평가 모형을 탐색한 후, 영어 교재의 평가 및 분석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영어 교재 연구의 전반적인 추세를 추적하고, 기독교적 주제를 기반으로 한 영어 교재 연구와 기독교적 시각에서 바라본 영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살펴보았다.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질문 및 과제’를 삽입하여 기독 영어교사의 시각으로 교재 관련 핵심 주제들을 재조명하는 평가 과정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참고문헌 및 부록을 삽입하여 영어 교재 연구 및 지도법에 도움이 될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독교 영어 교육과정의 기초를 이루는 기독교 영어교육의 목표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그 다음에 교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영어과 교육과정과 교재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시각 교재, 일방향(one-way) 시청각 교재, 컴퓨터 기반 멀티미디어 교재, 온라인(on-line) 영어 학습 전용 교재, 그리고 코퍼스 구축 초기의 성경의 역할과 코퍼스 연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주로 제3장에서 다룬 교재들을 중심으로 그 교수법을 탐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전반적인 영어 교재 평가의 추세를 기독교적 시각에서 재조명하고, 영어 교재의 평가 모형을 탐색한 후, 영어 교재의 평가 및 분석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영어 교재 연구의 전반적인 추세를 추적하고, 기독교적 주제를 기반으로 한 영어 교재 연구와 기독교적 시각에서 바라본 영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살펴보았다.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질문 및 과제’를 삽입하여 기독 영어교사의 시각으로 교재 관련 핵심 주제들을 재조명하는 평가 과정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참고문헌 및 부록을 삽입하여 영어 교재 연구 및 지도법에 도움이 될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