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망의 메타포서양 철학자들의 욕망 담론을 통해 욕망의 메커니즘을 밝히다
박정희 지음서양철학자들의 욕망이론을 토대로 인간의 욕망을 분석하였다. ‘욕망의 메타포’라는 큰 주제 아래에서 인간과 욕망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담론들을 통해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욕망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욕망을 어떤 형태로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 책을 읽게 될 독자들은 철학자들의 혜안을 좇아서 인간 욕망의 지도를 가지고 욕망의 흐름에 한 번 따라가 보기를 바란다.
그 욕망의 지도 마지막 지점에 다다르는 순간 욕망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이 새롭게 생길지도 모를 일이다. 왜냐하면, 욕망에 대해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욕망은 단언적으로 정의할 수 없는 애매하고 모호한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형화된 틀로 정의할 수 있는 피정의체가 아니다. 아마도 앞으로 많은 시간이 흐른 다음에도 인간의 욕망에 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한 방향으로만 정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인류는 끊임없이 많은 변화를 통해 점점 더 다양한 방법으로 욕망을 표현하고 실현해 왔다.
그 욕망의 지도 마지막 지점에 다다르는 순간 욕망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이 새롭게 생길지도 모를 일이다. 왜냐하면, 욕망에 대해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욕망은 단언적으로 정의할 수 없는 애매하고 모호한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형화된 틀로 정의할 수 있는 피정의체가 아니다. 아마도 앞으로 많은 시간이 흐른 다음에도 인간의 욕망에 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한 방향으로만 정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인류는 끊임없이 많은 변화를 통해 점점 더 다양한 방법으로 욕망을 표현하고 실현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