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조선전기의 의료제도와 의술 커버
조선전기의 의료제도와 의술
이경록 지음
연세의학사총서 9권. 조선전기의 의료제도와 의술을 다룬다. 의료제도의 측면에서는 의료기구의 운영을 담당하는 의관층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그리고 이러한 의료제도를 구축할 때 그 이면에 들어 있는 성리학의 역할과 영향은 어떠한 것이었는가? 의술의 측면에서는 조선전기 질병의 구체적인 양상은 어떠하였으며, 가장 대표적인 치료수단이었던 약재 개발은 어떠한 경로를 밟았는가이다.

고려시대와 비교했을 때 조선전기 의료에서 핵심적인 요소들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주력한다. 하지만 이 책의 진정한 의도는 의관층(醫官層).성리학(性理學).질병(疾病).약재(藥材)의 실체 파악을 매개로 조선전기의 사람, 그리고 사회집단으로서의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조선전기의 의료사를 의관층, 성리학, 질병, 약재라는 4가지 주제로 나누어 각 주제별로 3편씩 총 12편의 글을 실었다. 제1부에서는 조선전기의 의료정책과 의관층의 형성을 다룬다. 제2부에서는 성리학과 의료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조선전기 의료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 성리학의 의료관을 살펴본다. 제3부에서는 중풍을 비롯한 조선전기의 질병 양상과 그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4부에서는 치료술의 토대가 되는 약재 개발과 그 활용을 다루었다.

출판사

역사공간

출간일

종이책 : 2020-07-02전자책 : 2022-03-01

파일 형식

PDF(30.84 M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