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의 온도개성 만점 입양 가족의 하나되는 시간
이설아 지음한 집에 살고 있다고, 혈연으로 연결되었다고, 행복한 가족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서로의 체온을 느끼며, 이웃보다 친밀감을 보이지만, 성격이나 좋아하는 부분 등 다른 면을 보면서 일상은 갈등의 연속이기도 하다. 여기 다섯 식구가 있다. 부부는 불임이 아니지만 입양을 통해 세 아이의 엄마 아빠가 됐다.
부부는 아이와 부모 자식의 연을 맺으면서 입양을 숨기지 않고 공개했다. 더 나아가 입양하는 사람들이 꺼리는 남자아이, 연장아, 개방 입양으로 세 아이의 부모가 됐다. 이 책의 저자는 엄마가 필요한 아이들에게 가족이 되어주고자 하는 마음으로 입양이라는 창의적인 가족 만들기에 나섰다. 남편과 오랜 고민을 나눴기에 어렵지 않게 입양으로 부모가 되었다. 하지만 입양한 아이들과 완전한 가족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했다.
<가족의 온도>는 사랑스러운 자녀의 유일한 부모가 될 수 없다는 사실, 아이가 생부모의 존재를 알고부터 겪는 다양한 감정의 소용돌이, 아이와 엄마가 성장통을 겪으면서 완전한 가족이 되는 과정을 감성이 충만한 일러스트와 함께 보여준다.
저자는 자녀에게 입양으로 가족이 되는 과정을 숨김없이 나누고 공감하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아가는 쉽지 않은 시간을 보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저자는 입양 부모가 아닌 입양 자녀의 입장에서 담백하게 가족 이야기를 꺼낸다. 엄마의 시선을 담은 잔잔한 일러스트는 행복으로 나아가는 입양 가족의 모습에 온기를 더했다.
부부는 아이와 부모 자식의 연을 맺으면서 입양을 숨기지 않고 공개했다. 더 나아가 입양하는 사람들이 꺼리는 남자아이, 연장아, 개방 입양으로 세 아이의 부모가 됐다. 이 책의 저자는 엄마가 필요한 아이들에게 가족이 되어주고자 하는 마음으로 입양이라는 창의적인 가족 만들기에 나섰다. 남편과 오랜 고민을 나눴기에 어렵지 않게 입양으로 부모가 되었다. 하지만 입양한 아이들과 완전한 가족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했다.
<가족의 온도>는 사랑스러운 자녀의 유일한 부모가 될 수 없다는 사실, 아이가 생부모의 존재를 알고부터 겪는 다양한 감정의 소용돌이, 아이와 엄마가 성장통을 겪으면서 완전한 가족이 되는 과정을 감성이 충만한 일러스트와 함께 보여준다.
저자는 자녀에게 입양으로 가족이 되는 과정을 숨김없이 나누고 공감하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아가는 쉽지 않은 시간을 보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저자는 입양 부모가 아닌 입양 자녀의 입장에서 담백하게 가족 이야기를 꺼낸다. 엄마의 시선을 담은 잔잔한 일러스트는 행복으로 나아가는 입양 가족의 모습에 온기를 더했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