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야기는 오래 산다30년 문학전문기자 생애 첫 비평에세이
최재봉 지음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속 주인공은 왜 페스트와 싸우는 동시에 그 싸움의 기록자가 되었는지를 이렇게 설명한다. “인간에게는 경멸해야 할 것보다는 찬양해야 할 것이 더 많다는 사실만이라도 말해두기 위하여”. 이 문장을 호명한 저자는 ‘문학은 발언이며 증언이며 추억’이라는 신념을 보탠다. 30년간 <한겨레>의 문학전문기자로서, 문학의 포화 한가운데서, 그는 무엇을 읽고 보고 듣고 말하고, “찬양하여” 기록했을까.
당대의 가장 치밀한 목소리로서 그가 목도한 문학의 다채로운 표정들은 취재 수첩에 꼼꼼히 남았다. 이는 동일한 일을 평생 수행한 한 직업인의 경건한 기록이자 그 자체로 한국문학과 출판의 세밀한 역사다. 장편소설 전성시대로 베스트셀러가 부각했던 1990년대,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테제와 한국 문학상에 대한 비판, 이른바 미래파라는 젊은 시인들이 등장한 2000년대, 표절 논란, 절필 선언, 세월호, 원로 문인들의 연이은 별세 등으로 흘러온 2010년대, 기후위기와 펜데믹의 공세 속 새로운 흐름이 감지된 2020년대. 그가 수첩에 빼곡하게 적은 한국문학과 출판의 흐름들을 따라가다 보면 문학계 안팎의 지도가 선명하다.
당대의 가장 치밀한 목소리로서 그가 목도한 문학의 다채로운 표정들은 취재 수첩에 꼼꼼히 남았다. 이는 동일한 일을 평생 수행한 한 직업인의 경건한 기록이자 그 자체로 한국문학과 출판의 세밀한 역사다. 장편소설 전성시대로 베스트셀러가 부각했던 1990년대,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테제와 한국 문학상에 대한 비판, 이른바 미래파라는 젊은 시인들이 등장한 2000년대, 표절 논란, 절필 선언, 세월호, 원로 문인들의 연이은 별세 등으로 흘러온 2010년대, 기후위기와 펜데믹의 공세 속 새로운 흐름이 감지된 2020년대. 그가 수첩에 빼곡하게 적은 한국문학과 출판의 흐름들을 따라가다 보면 문학계 안팎의 지도가 선명하다.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