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동주 연구실존의식과 서지자료를 중심으로
김형태 지음Ⅰ부에서는 윤동주 시의 실존의식을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하에, 윤동주 시의 실존적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드러나는 종교・철학적 사유의 정신사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윤동주의 시를 실존적 단계에 따라 심미적 실존, 윤리적 실존, 종교적 실존 등으로 구분하고, 각 실존 단계에서 나타나는 윤동주 시의 종교・철학적 사유의 성격을 윤동주 당대에 전개되었던 유신론적 실존주의, 조선적 기독교, 고난의 신정론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동안 선행연구들은 윤동주 시의 변화 과정에 주목하지 못하거나, 변화 과정을 주목하더라도 초기 시를 배제하거나 그 종교・철학적 사유를 무시하여 윤동주 시의 실존의식을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이 책은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실존의식의 변화과정을 살피기 위해서, 유고 시 전체를 키에르케고어가 언급한 ‘실존의 삼 단계’에 따라서 구분하여 그 종교・철학적 사유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윤동주와 관련된 여러 서지자료들이 남아있다. 그가 자필로 쓴 시 원고들이 사진판으로 출판되어 있기도 하고, 그가 독자였거나 필자로 참여했던 잡지와 신문, 그가 소장하고 있었던 도서 목록과 스크랩북, 생전의 행적에 대한 주변인들의 증언과 유품 등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Ⅱ부에서는 이러한 서지자료의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서 윤동주의 시와 삶을 논의해 보고자 했다.
그 동안 선행연구들은 윤동주 시의 변화 과정에 주목하지 못하거나, 변화 과정을 주목하더라도 초기 시를 배제하거나 그 종교・철학적 사유를 무시하여 윤동주 시의 실존의식을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이 책은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실존의식의 변화과정을 살피기 위해서, 유고 시 전체를 키에르케고어가 언급한 ‘실존의 삼 단계’에 따라서 구분하여 그 종교・철학적 사유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윤동주와 관련된 여러 서지자료들이 남아있다. 그가 자필로 쓴 시 원고들이 사진판으로 출판되어 있기도 하고, 그가 독자였거나 필자로 참여했던 잡지와 신문, 그가 소장하고 있었던 도서 목록과 스크랩북, 생전의 행적에 대한 주변인들의 증언과 유품 등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Ⅱ부에서는 이러한 서지자료의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서 윤동주의 시와 삶을 논의해 보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