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녀님, 서툰 그림 읽기 : 장요세파 수녀, 수묵화 속의 공백과 대면하다수묵화 속의 공백과 대면하다
장요세파 지음수묵화가 김호석 화백의 작품 99점을 해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김호석 화백은 최근 인도 뉴델리 국립 현대미술관에서 외국인으로서는 두 번째이고, 한국인으로서는 첫 번째로 초대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는 한국을 대표하는 화가이다. 그는 1999년 올해의 작가로 국립현대미술관 초대전, 2015년 고려대학교 박물관 초대 개인전 등 26회의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는 중견 화가다.
수녀님의 예술에 대한 지식은 해박하고 은유가 깊다. 글은 오히려 자유롭고 자연스럽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의 현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때로는 화가가 다가가지 못한 공백 속으로 과감히 진입한다. 수녀님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오히려 우리가 봉쇄 구역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착각이 들기도 한다.
그만큼 수녀님의 글은 더 줄일 수도 보탤 수도 없는 바로 그런 경지로서 그것은 수묵화가 지향하는 소쇄 담박한 맛과 맞닿아 있다. 신성과 깊이 맞닿아 있는 영성적 존재로서 예술에 대해 이슬 같은 감수성으로 쓴 책으로, 우리 사회에 선하고 맑은 기운으로 대 긍정의 세계를 지향하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수녀님의 예술에 대한 지식은 해박하고 은유가 깊다. 글은 오히려 자유롭고 자연스럽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의 현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때로는 화가가 다가가지 못한 공백 속으로 과감히 진입한다. 수녀님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오히려 우리가 봉쇄 구역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착각이 들기도 한다.
그만큼 수녀님의 글은 더 줄일 수도 보탤 수도 없는 바로 그런 경지로서 그것은 수묵화가 지향하는 소쇄 담박한 맛과 맞닿아 있다. 신성과 깊이 맞닿아 있는 영성적 존재로서 예술에 대해 이슬 같은 감수성으로 쓴 책으로, 우리 사회에 선하고 맑은 기운으로 대 긍정의 세계를 지향하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