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의 키워드 왕을 말하다
강응천 지음'왕'은 우리 역사를 톺아보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왕명 출납이 기록된 <승정원일기>와 조선 왕조의 역사를 시대 순에 따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처럼 시대를 꼼꼼히 짚어볼 수 있는 역사적 사료가 '왕의 기록'에 치우쳐 있기도 하거니와, 왕위에 오른 이가 누구냐에 따라 정치.외교.사회.경제.문화가 확연히 바뀌던 '군주정'에서 왕은 자연스럽게 역사를 읽어 내는 중요한 키워드가 될 수밖에 없다.
역사 전문 기획 집단 '문사철' 대표이자 저술가인 강응천 작가의 <역사의 키워드 왕을 말하다>는 이처럼 우리 역사의 키워드인 '왕'들의 면면을 들여다보며 꼼꼼히 역사를 톺아보는 한편, 민중이 권력을 가진 시대 '왕'이 지니는 의미를 묻는다.
지은이는 단군왕검에서 군주의 탄생과 의미를 따져 보는 것으로 시작해, 무령왕 편에서는 왕과 귀족의 관계를 살펴본다. 선조 편에서는 콤플렉스가 왕권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보여 주는가 하면, 중종 편에서는 왕과 신하의 관계를 파헤쳐 본다. 백성을 버리고 왕권을 지킨 왕으로 평가한 인조, 북벌의 정치학을 펼친 효종의 역사도 흥미롭다. 한 나라의 왕인 동시에 다른 제국의 신하에 지나지 않았던 '충(忠)' 자 돌림 왕들의 역사, 세종대왕이 펼친 성군의 역사도 소개한다.
이렇게 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첫 번째 황제였던) 고종 편까지 이 책은 모두 24장에 걸쳐 우리 역사 속 왕들을 소개한다. 왕들의 역사를 일독하는 것만으로 우리 역사의 흐름을 알기 쉽게 꿰뚫어 볼 수 있어, 참신한 관점의 한국사 통사를 기다리는 일반 독자뿐 아니라 청소년 역사 교양서로도 추천할 만하다.
역사 전문 기획 집단 '문사철' 대표이자 저술가인 강응천 작가의 <역사의 키워드 왕을 말하다>는 이처럼 우리 역사의 키워드인 '왕'들의 면면을 들여다보며 꼼꼼히 역사를 톺아보는 한편, 민중이 권력을 가진 시대 '왕'이 지니는 의미를 묻는다.
지은이는 단군왕검에서 군주의 탄생과 의미를 따져 보는 것으로 시작해, 무령왕 편에서는 왕과 귀족의 관계를 살펴본다. 선조 편에서는 콤플렉스가 왕권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보여 주는가 하면, 중종 편에서는 왕과 신하의 관계를 파헤쳐 본다. 백성을 버리고 왕권을 지킨 왕으로 평가한 인조, 북벌의 정치학을 펼친 효종의 역사도 흥미롭다. 한 나라의 왕인 동시에 다른 제국의 신하에 지나지 않았던 '충(忠)' 자 돌림 왕들의 역사, 세종대왕이 펼친 성군의 역사도 소개한다.
이렇게 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첫 번째 황제였던) 고종 편까지 이 책은 모두 24장에 걸쳐 우리 역사 속 왕들을 소개한다. 왕들의 역사를 일독하는 것만으로 우리 역사의 흐름을 알기 쉽게 꿰뚫어 볼 수 있어, 참신한 관점의 한국사 통사를 기다리는 일반 독자뿐 아니라 청소년 역사 교양서로도 추천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