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얼굴을 가진 하나님 : 성서로 보는 미국 노예제 - 살림지식총서 004
김형인 지음성서에 대한 노예제 찬반론자들의 해석과 옹호를 통해 '두 얼굴을 가진 하느님'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책. 지은이는 사람들이 성서를 근거로 자신들의 입장을 어떻게 합리화하려했는지를 구체적 예들을 들어가며 살폈다.
19세기 전반기까지의 서양에서 성서는 노예제 폐지의 가장 중요한 근거인 동시에 노예제 존재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자신들의 입장을 정당화시키는 하나의 방편이었다. 찬성론자들은 <구약>의 '함의 저주'와 '희년', 아브라함의 이주와 할례, <신약>에서 종들의 복종의무 등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반면에 반대론자들은 <신약>의 '황금률', 노예제도는 사람을 훔치는 일이므로 천벌이 내릴 것이라는 <구약>의 구절, 인류는 모두 하느님의 자손이라는 기독교의 기본 정신 등을 성서에서 끌어냈다.
19세기 전반기까지의 서양에서 성서는 노예제 폐지의 가장 중요한 근거인 동시에 노예제 존재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자신들의 입장을 정당화시키는 하나의 방편이었다. 찬성론자들은 <구약>의 '함의 저주'와 '희년', 아브라함의 이주와 할례, <신약>에서 종들의 복종의무 등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반면에 반대론자들은 <신약>의 '황금률', 노예제도는 사람을 훔치는 일이므로 천벌이 내릴 것이라는 <구약>의 구절, 인류는 모두 하느님의 자손이라는 기독교의 기본 정신 등을 성서에서 끌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