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아 있는 도서관
김이경 지음작가 장정일이 독자들의 '교양'에 대한 들끓는 열망에 불을 붙인 '독서일기'를 자신만의 고유한 브랜드로 정착시켰다면, 이 책 <살아 있는 도서관>의 저자인 김이경 작가는 '책에 관한 소설집'이라는 전무후무한 형식의 책을 통해 '소설'이라는 장르의 지평을 한층 넓히면서 독자들에게 지적이고도 심미적인 쾌감을 선사한다.
<살아 있는 도서관>은 지난 2009년 출간된 <순례자의 책>의 9년 만의 개정판이다(초판에는 10편이 실려 있었으나 개정판에서는 2편이 덧붙었다). 초판 출간 당시 눈 밝은 독자들에게 참신하고 발칙한 상상력으로 탄성을 자아내며 마니아 독자층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 책은 평생을 '책'과 함께 살아온 저자의 내공이 빛을 발하면서, '인간에게 책이란 무엇인가'라는 인문학적 주제를 다채로운 단편소설들 속에 담아낸 새로운 시도이다. 인류의 놀라운 발명품인 '책'에 관한 흥미롭고 기발하며 때론 어처구니없고 참혹하기까지 한 '거짓말 같은' 이야기들이 새로운 형식의 지식소설로 탄생했다.
저승이라는 도서관, 인피 장정, 조선시대 패설에 얽힌 살인 사건, 분서(焚書), 일본 에도 시대의 책 대여상 가시혼야, 사람 책, 중국 최대의 개인 장서각, 중세 유럽의 필경 수도사, 책의 적(敵) 등등 '책'에 얽힌 기발한 상상력이 동서고금의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살아 있는 도서관>은 지난 2009년 출간된 <순례자의 책>의 9년 만의 개정판이다(초판에는 10편이 실려 있었으나 개정판에서는 2편이 덧붙었다). 초판 출간 당시 눈 밝은 독자들에게 참신하고 발칙한 상상력으로 탄성을 자아내며 마니아 독자층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 책은 평생을 '책'과 함께 살아온 저자의 내공이 빛을 발하면서, '인간에게 책이란 무엇인가'라는 인문학적 주제를 다채로운 단편소설들 속에 담아낸 새로운 시도이다. 인류의 놀라운 발명품인 '책'에 관한 흥미롭고 기발하며 때론 어처구니없고 참혹하기까지 한 '거짓말 같은' 이야기들이 새로운 형식의 지식소설로 탄생했다.
저승이라는 도서관, 인피 장정, 조선시대 패설에 얽힌 살인 사건, 분서(焚書), 일본 에도 시대의 책 대여상 가시혼야, 사람 책, 중국 최대의 개인 장서각, 중세 유럽의 필경 수도사, 책의 적(敵) 등등 '책'에 얽힌 기발한 상상력이 동서고금의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펼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