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미니즘 한 스푼 코로나19 시기 여성돌봄노동 과부하 현상의 분석
한소율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 사회에 잠재되어 있던 돌봄노동의 젠더 불평등 현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교육기관 폐쇄, 노인요양시설 운영 중단, 재택근무 확대는 여성들의 무급돌봄노동 부담을 급격히 증가시켰다. 특히 맞벌이 가정의 여성들은 직장 업무와 자녀 돌봄, 집안일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삼중고에 시달리며 심각한 일가정 양립의 위기를 경험했다.
전국의 초중고교가 원격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워킹맘들은 자녀의 온라인 학습 지원과 직장 업무를 병행해야 했고, 노인요양시설의 폐쇄는 여성 가족구성원들에게 노인돌봄의 책임을 전가했다. 의료현장의 여성 종사자들은 높은 감염위험과 과중한 업무에 시달렸으며, 돌봄서비스 중단으로 일자리를 잃은 여성 돌봄노동자들은 경제적 빈곤의 위기에 처했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의 경력단절과 노동시장 이탈을 가속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책은 팬데믹 시기 한국 사회의 여성돌봄노동 과부하 현상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돌봄노동의 경제적 가치 평가, 돌봄의 재가정화가 초래한 젠더불평등, 여성의 정신건강 악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고찰한다. 나아가 세계 각국의 돌봄위기 대응전략을 비교분석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한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전국의 초중고교가 원격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워킹맘들은 자녀의 온라인 학습 지원과 직장 업무를 병행해야 했고, 노인요양시설의 폐쇄는 여성 가족구성원들에게 노인돌봄의 책임을 전가했다. 의료현장의 여성 종사자들은 높은 감염위험과 과중한 업무에 시달렸으며, 돌봄서비스 중단으로 일자리를 잃은 여성 돌봄노동자들은 경제적 빈곤의 위기에 처했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의 경력단절과 노동시장 이탈을 가속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책은 팬데믹 시기 한국 사회의 여성돌봄노동 과부하 현상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돌봄노동의 경제적 가치 평가, 돌봄의 재가정화가 초래한 젠더불평등, 여성의 정신건강 악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고찰한다. 나아가 세계 각국의 돌봄위기 대응전략을 비교분석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한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