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인간의 역사와 문명 마야 후기 포스트클래식 시대 정치 구조 변화 커버
인간의 역사와 문명 마야 후기 포스트클래식 시대 정치 구조 변화
이진호
포스트클래식기 마야 문명의 정치 구조는 신성왕권에서 세속적 권력 체제로의 대전환을 겪었다. 치첸 이차의 몰락과 마야칸의 부상, 코콤 가문의 패권 장악으로 이어지는 권력 이동 과정에서 혈연을 기반으로 한 씨족 중심의 정치 체제가 확립되었다. 특히 훈악 케엘의 통치 전략과 쉬우 가문의 혼인동맹 정책은 유카탄 반도의 정치 지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마야 문명 후기의 도시국가 연맹 체제 형성으로 이어졌다.

페텐 호수 연맹의 새로운 질서 수립과 멀칸 의회제도의 발달은 마야 후기 정치 체제의 혁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마야팬의 멀칸 의회 설립과 귀족 대표자 선출 제도는 집단 의사결정 체계를 도입했으며, 홀칸이라 불리는 전문 군사조직의 등장은 군사력을 통한 새로운 정치적 영향력을 창출했다. 푸툰 상인들의 해상무역 네트워크 장악과 경제적 영향력 확대는 도시국가 간 새로운 역학 관계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툴룸의 할라치 우이니크 체제 도입과 능력 중심의 권력승계 제도 확립은 마야 후기 정치 구조의 근본적 변화를 완성했다. 그러나 스페인 정복 직전 16개 독립 도시국가로의 분열과 상호 견제 구도는 통합된 방어 체계의 붕괴를 초래했다. 쿠쿨칸의 톨텍 문화 수용과 정치제도 개혁, 시판과 마니의 영토분쟁에서 보이는 새로운 중재 메커니즘의 발달은 마야 문명 최후의 정치적 혁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10

파일 형식

ePub(852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