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인간의 역사와 문명 은유입으로 인한 중국 화폐경제 변화 커버
인간의 역사와 문명 은유입으로 인한 중국 화폐경제 변화
김상철
중국의 화폐 은유 변천사는 단순한 경제적 진화를 넘어서는 문명사적 대전환을 보여준다. 북송 시대 교자의 등장부터 청나라의 은본위제까지, 화폐를 둘러싼 언어적 표현과 은유의 변화는 중국인들의 세계관과 가치체계의 진화를 입증하는 결정적 증거가 된다. 특히 당나라의 개원통보가 상징하는 제국의 권위, 도자기 무역을 통해 재발견된 가치 척도, 비단화폐가 대변하는 사치 문화의 발달은 화폐 은유가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들이다.

실크로드를 통한 서역 문물의 유입은 중국의 화폐 은유에 국제적 색채를 더했다. 페르시아와 아랍의 상업 용어들이 중국 경제 언어에 스며들었고, 징더전 도자기의 국제적 유통은 새로운 가치 척도를 만들어냈다. 수당 대운하를 따라 발달한 지역별 화폐 은유는 중국 각 지역의 독특한 경제 문화를 반영했으며, 명청 시대의 조공 무역은 화폐 은유에 외교적 함의를 더했다.

주나라의 청동화폐가 지닌 제사적 의미에서 시작하여 한나라 오수전의 통일성, 춘추전국 시대 도끼화폐의 군사적 상징성까지, 중국의 화폐 은유는 정치 권력과 종교의식, 군사력이 복합적으로 얽힌 문화 현상이었다. 위진남북조 시대 농민들의 현물화폐 사용에서 송원 시대 서민들의 시장 거래 용어까지, 민간의 화폐 은유는 서민 생활의 진솔한 모습을 담아냈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10

파일 형식

ePub(858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