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의 역사와 문명 중국 당·송 시대 상업 발전과 도시화
이재필7세기 당나라 장안에서 17세기 원나라 시기까지 중국 도시상업의 대전환을 추적한 역작이다. 특히 장안성의 십자형 도로체계와 황성 상업구역, 광저우의 무슬림 상인들이 이끈 해상무역, 개봉의 지폐유통 혁신, 항주의 사치품 시장 등 주요 도시들의 상업발전 양상을 풍부한 사료를 통해 생생하게 복원했다. 당시 도시민들의 일상적 소비생활부터 대규모 무역 네트워크까지 중국 전통도시의 상업문명을 총체적으로 조망한다.
상인계층의 성장과정도 세밀하게 추적했다. 당 초기 보부상에서 출발해 송대 행호 상인들의 동업조합 결성, 복건 다상들의 차 무역망 구축, 수공업 작방의 기술혁신, 대상인 가문의 형성까지 상인집단의 조직화와 전문화 과정을 면밀히 분석했다. 특히 상인들의 자치규범과 권익보호 활동, 관료층과의 관계 변화를 통해 전통 중국사회에서 상인계층이 가진 역동성을 부각했다.
도시 인프라와 제도의 변천사도 풍부하게 다뤘다. 대운하 물류체계의 혁신, 향촌 정기시장의 발달, 상업세법의 변화, 도시 주택문제와 부동산 투기, 상인민병 조직의 방위활동 등 도시상업을 뒷받침한 물적 토대와 제도적 장치들을 총망라했다. 당송 시대 도시상업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 전통 중국의 도시문명이 지닌 역동성과 개방성을 재발견하게 한다.
상인계층의 성장과정도 세밀하게 추적했다. 당 초기 보부상에서 출발해 송대 행호 상인들의 동업조합 결성, 복건 다상들의 차 무역망 구축, 수공업 작방의 기술혁신, 대상인 가문의 형성까지 상인집단의 조직화와 전문화 과정을 면밀히 분석했다. 특히 상인들의 자치규범과 권익보호 활동, 관료층과의 관계 변화를 통해 전통 중국사회에서 상인계층이 가진 역동성을 부각했다.
도시 인프라와 제도의 변천사도 풍부하게 다뤘다. 대운하 물류체계의 혁신, 향촌 정기시장의 발달, 상업세법의 변화, 도시 주택문제와 부동산 투기, 상인민병 조직의 방위활동 등 도시상업을 뒷받침한 물적 토대와 제도적 장치들을 총망라했다. 당송 시대 도시상업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 전통 중국의 도시문명이 지닌 역동성과 개방성을 재발견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