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사회과학의 지평 산지개발 규제와 자연보호 운동 커버
사회과학의 지평 산지개발 규제와 자연보호 운동
조민성
한국의 산지개발과 자연보호 운동의 역사적 궤적을 추적하며 환경보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이 책은 1960년대 태백산맥 개발부터 2020년대 탄소중립 시대까지의 주요 환경 이슈들을 심도 있게 다룬다. 설악산 국립공원 지정, 동강댐 건설 반대운동, 우포늪 람사르습지 등록, 가리왕산 알파인경기장 철거 등 굵직한 환경 이슈들을 통해 개발과 보존 사이의 첨예한 갈등과 그 해결과정을 면밀히 분석한다.

전국 각지의 구체적 사례들을 통해 산지개발 규제정책의 변천과정을 조명하는 한편, 수도권 그린벨트 지정과 우면산 산사태 이후의 도시산지 관리체계 변화, 강원 폐광지역의 생태복원 노력, 제주도의 난개발 문제 등 지역별 특수성을 고려한 산지관리 정책의 진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각 사례에서 드러난 제도적 한계와 시행착오는 미래 산지정책 수립에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탄소흡수원으로서 산림의 가치가 재조명되는 가운데, 산림치유와 생태관광 등 산지의 새로운 활용방안도 주목받고 있다. 이 책은 북한산 둘레길과 국립치유의숲 등의 사례를 통해 보전과 활용이 조화를 이루는 미래지향적 산지관리 방안을 모색하며, DMZ 생태계 보전과 남북산림협력 등 한반도 차원의 환경협력 가능성도 타진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산지관리를 위한 새로운 비전과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15

파일 형식

ePub(857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