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교육 이야기아는 것 같지만, 사실은 잘 모르는
박진동.김수정 지음캐나다 교육, 제대로 알고 계십니까?
공교육이 탄탄하고 입시 스트레스가 없는 캐나다 교육의 실제!
현재 캐나다에 살고 있는 한국인은 약 22만 명으로 추산된다. 조사에 따르면, 2011년 국민의 46%가 이민을 고려해 봤다고 답할 정도로 한국의 이민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자녀 교육은 이민을 가려는 주된 목적 가운데 하나이고, 캐나다는 미국과 더불어 한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민국이다.
왜 사람들은 캐나다로 가려는 것일까? 경쟁 위주의 한국 교육을 피해 아이들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키우겠다며 캐나다로 교육 이민이나 조기 유학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혹은 캐나다가 영어권 국가이니 미국 명문 대학을 쉽게 가기 위한 징검다리 어학연수로 가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이 가운데 성공한 사람도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처럼 아이를 열심히 학원에 보내 대학에 입학시킨 뒤 마음 놓고 있다가 졸업을 못해 후회하는 사람도 있고, 토론토 대학교를 졸업했다는 젊은이들이 편의점이나 비디오점에서 알바로 살아가기도 한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캐나다 교육은 입시 스트레스 없는 바람직한 대안이기만 한 걸까?
현지에서 두 아이를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보낸 부부가 전하는 우리가 잘 몰랐던 캐나다의 교육 이야기다. 직접 겪은 사례와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캐나다의 수능 없는 대학 입학 제도와 교육 제도, 공평·포용 등의 교육 철학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캐나다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지금 캐나다에 유학을 떠나 있는 학생들과 부모들에게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공교육이 탄탄하고 입시 스트레스가 없는 캐나다 교육의 실제!
현재 캐나다에 살고 있는 한국인은 약 22만 명으로 추산된다. 조사에 따르면, 2011년 국민의 46%가 이민을 고려해 봤다고 답할 정도로 한국의 이민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자녀 교육은 이민을 가려는 주된 목적 가운데 하나이고, 캐나다는 미국과 더불어 한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민국이다.
왜 사람들은 캐나다로 가려는 것일까? 경쟁 위주의 한국 교육을 피해 아이들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키우겠다며 캐나다로 교육 이민이나 조기 유학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혹은 캐나다가 영어권 국가이니 미국 명문 대학을 쉽게 가기 위한 징검다리 어학연수로 가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이 가운데 성공한 사람도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처럼 아이를 열심히 학원에 보내 대학에 입학시킨 뒤 마음 놓고 있다가 졸업을 못해 후회하는 사람도 있고, 토론토 대학교를 졸업했다는 젊은이들이 편의점이나 비디오점에서 알바로 살아가기도 한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캐나다 교육은 입시 스트레스 없는 바람직한 대안이기만 한 걸까?
현지에서 두 아이를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보낸 부부가 전하는 우리가 잘 몰랐던 캐나다의 교육 이야기다. 직접 겪은 사례와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캐나다의 수능 없는 대학 입학 제도와 교육 제도, 공평·포용 등의 교육 철학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캐나다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지금 캐나다에 유학을 떠나 있는 학생들과 부모들에게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