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랜스퍼 팩터와 면역해독
최기아 지음, 홍동주 그림트랜스퍼 팩터에 대해 설명한다. 트랜스퍼 팩터의 발견은 1949년 H. 셔우드 로렌스 박사에 의해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결핵 치료에 관한 연구 중 치료 환자의 혈액 속 백혈구에서 트랜스퍼 팩터를 발견하였고, 그리고 이것이 강력한 면역 반응을 나타내어 결핵이 걸리지 않게 함을 알게 되었다. 이것을 명명하여 트랜스퍼 팩터라 불리게 되었다.
면역이 균형을 잡고, 스스로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항원에 대한 인지, 타격, 퇴치 등을 돕는 물질이 있다. 이것은 면역을 똑똑하게 하며 현명하고 지혜롭게 하는 물질이며 반대로 이 물질이 부족하거나 결핍이 되면 그때부터 면역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물질이 바로 ‘트랜스퍼 팩터’라는 인자이다. 이 트랜스퍼 팩터의 발견으로 면역의 재정립이 되었고 자가면역질환의 원인과 규명이 밝혀지게 되었다.
면역이 균형을 잡고, 스스로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항원에 대한 인지, 타격, 퇴치 등을 돕는 물질이 있다. 이것은 면역을 똑똑하게 하며 현명하고 지혜롭게 하는 물질이며 반대로 이 물질이 부족하거나 결핍이 되면 그때부터 면역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물질이 바로 ‘트랜스퍼 팩터’라는 인자이다. 이 트랜스퍼 팩터의 발견으로 면역의 재정립이 되었고 자가면역질환의 원인과 규명이 밝혀지게 되었다.